earticle

논문검색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the Madangnori

원문정보

마당놀이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연구

Kim, Ji-An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제33호 2021.06 pp.1-2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develops, Korean culture is emphasized, too. Even with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language classes accompanying Korean culture in the classroom, there are many difficulties when connecting those in actual classes. This is because the culture is based on time, space and experience in daily life. Purpose: 'Madangnori' has the same attributes as the nature of this culture. The openness, flexibility, and distinctiveness of Madangnori are enough factor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Korean culture. Methodology/Approach: First, the theory of Madangnori is established. Second, from the stand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adangnori that can be targeted at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is selected. Third, the contents of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for each level are suggested. Findings/Conclusion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Madangnori', composed of cultural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dance, literature (narrative) and drama. Theme of beginner level is the daily life of Korean people, includes introducing the names of Korean food as language education, and playing 'Gatekeeper game', which is one of various forms of Ganggangsulae, as culture education. At intermediate level, I propose performing a puppet show after learning a fairy tale, 'The Sun and The Moon', and playing 'Rice cake selling' game on mingling phase. The advanced level introduces 'Pansori' through 'Chunhyangjeon' and base rhythm of 'Samulnori' through 'Ichae rhythm'. Implications: There is a great implication that 'Madangnori' has, which can embrace the multinational background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an open consciousness. This is because it is likely to be developed into a common culture or a global culture beyond blood ties, religion and locality. With the activities that utilize various elements of 'Madangnori',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fluent communication'.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a practical and useful material that provides productive and concrete cultural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어

배경: 한국어교육이 발전할수록 한국문화는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국어 교육계에서 한국문화를 포함한 한국어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지만, 실제 수업으로 연결되기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문화는 어 떤 집단이 같은 시공간을 공유하는 가운데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발전된다. ‘마당놀이’의 진행 원리 가 개인이 어떤 집단 내에서 같은 시공간을 공유하는 경험에서 비롯된다는 문화 생성 원리를 닮아 있다. 개방성・유연성・특수성을 지닌 ‘마당놀이’는 한국문화교육을 하기에 좋은 문화 소재이다. 목적: 한국인의 전통 음악, 춤, 문학(서사), 연극의 문화 요소를 한데 어우를 수 있는 ‘마당놀이’를 활 용한 한국문화교육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론/접근: 첫째, 마당놀이의 이론을 정립한다. 둘째, 한국어교육의 입장에서 초급·중급·고급을 대상 으로 할 수 있는 마당놀이를 선정한다. 셋째, 각 급수별 언어교육 내용과 문화교육 내용을 제안한다. 결과/결론: 초급단계에서는 언어수업 차원으로 한국 음식 이름과 재료의 명칭을, 문화수업 차원으로는 강 강술래의 놀이 중 하나인 ‘문지기 놀이’를 제안하였다. 중급에서는 ‘해님과 달님’이라는 전래동화를 인형극으로 구성하고 언어수업 차원에서는 ‘해님과 달님’ 읽기를, 문화수업 차원에서는 한국의 인형극 과 ‘떡 사세요’ 민속놀이를 제안하였다. 고급에서는 춘향전을 읽는 언어수업 과정 속에서 판소리를 알 게 하고, 사물놀이 장단 중 하나인 ‘이채 장단’을 엮어 사물놀이의 기본 장단을 익히는 문화수업을 제 안하였다. 시사점: 다국적 배경을 가진 한국어학습자들에게 열린 의식을 갖게 하는 ‘마당놀이’는 교육적으로 시 사하는 바가 크다. ‘마당놀이’의 여러 요소들을 활용한 활동 속에서 ‘능통한 의사소통’이라는 한국 어교육의 목표를 자연스럽게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혈연이나 지역성을 뛰어넘어 인류공동 내 지는 범세계적인 문화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본고가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생산적이고 구체적인 문화 수업을 제공하는 실제적이고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목차

Abstract
요약
Ⅰ. 서론
Ⅱ. 마당놀이의 이론적 배경
1. 마당놀이의 개념
2. 마당놀이의 기원과 발전
3. 마당놀이의 특징
Ⅲ. 마당놀이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실제
1. 초급단계 수업 내용 구성
2. 중급단계 내용 구성
3. 고급단계 수업 내용 구성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Kim, Ji-An 김지안.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HYO Korean educational linguistics, Sungsan Hyo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