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라이브 커머스에 대한 소비자 인식 - 코로나19의 영향과 제품군별 차이 -

원문정보

Consumer Awareness on Live Commerce - Influence of the Covid 19 and Product Category of Fashion and Beauty -

최지윤, 이규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aimed to study the consumer perception s of the live streaming commerce of fashion and beauty before and after COVID-19 by understanding the rapid c hanges in the online market due to COVID-19. The met hod of analysis was an application of big data analysis th rough text mining of posts on consumption portal websit es and analysis of social networking website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ext mining, UCINET 6, and NodeXL 1. 0.1 software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onsumer perception of live commerce befor e and after COVID-19 has created a number of offline an d online based property keywords depending on the outbr eak of COVID-19.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COVID-19 has led to the growth of live commerce properties and ha s become popular to the public. In the lower categories of live commerce, fashion and beauty, four crowds have bee n observed. The overall similarities between fashion and beauty were COVID-19, properties of live commerce and different business, and transition to online. Fashion reflec 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industry, properties, and generation while the beauty industry reflected the ch aracteristics of K-beauty, brands, informants, and interes t in health and beauty. C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 ve as the base line data for live commerce research in the field of fashion and beauty.

한국어

코로나 19가 심화되면서 소비자들은 타인과의 불필요한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표적인 비대면 서비스인 라이브 커머스 선호하기 시작하였으며, 소비자 인식을 통해 뉴노멀 시대에 적합한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 른 소비자 관점에서의 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라이브 스트 리밍 커머스의 특성과 인식을 파악한다. 코로나 19 전후로 라 이브 커머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전반적인 인식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라이브 커머스의 하위카테고리인 패션과 뷰티 채널에서 나타난 소비자 인식 구조를 분석 비교하는 것도 본 연구에 포함한다. 코로나 19 전후의 라이브 커머스 대한 소비 자 인식은 코로나 19 발생 시기에 따라 각각 오프라인, 온라 인 기반의 속성 키워드들이 도출되었으며, 코로나 19의 영향 으로 라이브 커머스의 속성 항목들이 성장하여 소비자들에게 대중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브 커머스 하위 카테고리인 패션 항목과 뷰티 항목에서는 네 가지의 군집이 나타났다. 패 션, 뷰티 항목의 공통점과 차이점에서는 전체적으로 코로나 1 9, 라이브 커머스 속성과 이종업계, 온라인으로의 전환이 주 요 공통점으로 나타났고 패션은 패션 산업, 속성, 세대 등의 특징을 가지고 뷰티는 K-뷰티, 브랜드, 정보제공자, 헬스뷰티 관심도 등의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가 향후 패션과 뷰티 분야의 라이브 커머스 연구의 기초자료 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라이브 커머스
2.2. 코로나 전·후의 영향
2.3. 제품군의 영향: 패션 vs 뷰티
3. 연구방법
3.1. 연구문제
3.2. 자료수집 및 분석
4. 연구결과
4.1. 라이브 커머스에 대한 소비자 인식
4.2. 패션 및 뷰티 라이브 커머스에 대한 소비자인식 구조화
4.3. 패션 뷰티 상품군 라이브 커머스의 공통점과 차이점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지윤 Choi Ji Yoon.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 이규혜 Lee Kyu Hye.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