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건강정보디자인에서 나타난 언어 중심의 내러티브와 비주얼 내러티브의 정보수용정도의 차이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Information Acceptance Between Verbal and Visual Narrative in Health Information Design

강로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formation visualization is a method of information co mmunication for reinforcing the audience’s immersion an d information perception. Today, narratives are actively u sed in various field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format ion visualiz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expl ore the narrative as a strategic method of health informat ion design, and investigated whether verbal and visual na rratives make a difference to the audience’s degree of inf ormation acceptance. As a research method, the World H ealth Organization’s health information design for the pre vention of COVID-19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to ol, and information was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 ed for a month from May 202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 between the group that experienc ed health information through visual narrative and the gr oup that encountered verbal narrative. After the COVID- 19 pandemic, audiences have obtained information about COVID-19 prevention through various media. Through t his, the audience was less affected by visual information data because the audience was able to utilize the schema that already been created, and therefore, there was no sig 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w ill be used as basic data to find ways to utilize narratives for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in the health information design.

한국어

정보 시각화는 수용자의 몰입과 정보인지 강화를 위한 정 보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다. 오늘날 정보 시각화의 효율성 을 높이고자 다양한 분야에서 내러티브가 적극 활용되고 있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정보디자인의 전략적 방안으로 서 내러티브를 탐구하기 위해 언어 중심의 내러티브와 비주 얼 내러티브가 수용자의 정보 수용정도에 차이를 주는지 알 아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세계보건기구의 코로나 19 예방을 위한 건강정보디자인을 사례로 선정하여 실험도구를 구성하 였으며, 2020년 5월부터 한 달간 정보를 수집하여 통계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비주얼 내러티브를 통한 건강정보를 경험 한 집단과 언어 중심의 내러티브를 접한 집단 간에는 건강정 보수용정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다. 코로나 19 팬더믹 이후에, 수용자는 다양한 매체를 통 해 코로나 19 예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였다. 이를 통해 수 용자는 이미 생성된 스키마를 활용할 수 있어 시각정보자료 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아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주얼 내러티브를 활 용한 정보 디자인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효율적인 정보 전달 을 위해 건강정보디자인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어지길 바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과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건강정보의 개념
2.2. 내러티브의 역할
2.3. 내러티브 시각화의 효과
3. 연구방법 및 분석
3.1. 연구방법 및 절차
3.2. 조사대상자의 선정
3.3. 실험작극물
3.4.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3.6. 자료 분석
4. 연구결과
4.1. 피험자 특성 분석
4.2. 내러티브 제시유형에 따른 건강정보수용의 차이 분석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로빈 Kang Ro Bin. 용인대학교, 미디어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