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명상 기반 예술치료의 연구동향 분석 및 고찰 : 2010-2020년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Analysis and Review of the Study Trends of Meditation-based Arts Therapy : Focusing on Korean Academic Papers and Journals from 2010 to 2020

신문자, 이미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rends in studies of meditation-based arts therapy published in Korea from 2010 to 2020. Of the total 106 papers searched from domestic data bases, a total of 54 papers were selected as analysis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mong the studies on meditation-based arts therapy published in Korea from 2010 to 2020, meditation-based art therapy was the most reported, and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on adults and general group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any studies using experimental-control group studies and quantitative analysis were mainly published. Most of the studies showed that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was 6-10, the number of program sessions was 6-10, the total duration of the program was 9-12 weeks, and the duration of the program was 31-60 minutes. In contrast, it was found that fe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mong preschool children, college students, and patient groups. The present study was able to identify research trends by investigating the use of meditation-based arts therapy by classification, measurement variables, and program composition.

한국어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명상 기반 예술치료 연구에 대한 동향을 조사·분석하고, 향후 과제와 방안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국내 논문 데이터베이스를 통 해 검색된 전체 논문 106편 중, 최종적으로 총 54편을 분석 자료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 과는 다음과 같다.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명상 기반 예술치료 연구 중에서 명상 기반 미술치료가 가장 많이 보고되었으며, 성인 및 일반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 루었다. 실험-통제 집단 연구와 양적 분석을 활용한 연구가 많이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의 인원 수는 6-10명, 프로그램 회기 수는 6-10회기, 프로그램 총 기간은 9-12주, 프로그램 소요시간은 31-60분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미취학 아동 대상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환자군 대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명 상 기반 예술치료의 유형별 활용, 측정 변인, 프로그램 구성 등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명상 기반 예술치료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자료선정
2. 연구대상 분석 기준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최종 분석 자료의 일반적 동향 분석
2. 연구대상 및 프로그램 특성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최종 분석 논문(N=54)
Abstract

저자정보

  • 신문자 Sheen, Moon-Ja. 능인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석사졸업
  • 이미선 Lee, Mi-Sun.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자살과학생정신건강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