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漢과 匈奴의 화친에 관한 연구(Ⅰ) − 北强南弱(B.C.198~B.C.133) 시기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lliance treaty between the Han and the Hunnu (Ⅰ) - with an emphasis on the tribute-alliance period

한과 흉노의 화친에 관한 연구(Ⅰ) − 북강남약(B.C.198~B.C.133) 시기를 중심으로 −

서길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will examine the alliance relation between the Han and the Hunnu in the Shi Ji and the Han Shu. These two historical records use the term hwach’in ( hé qīn 和親) in the international tribute relation. The author also used the same term, alliance ‘화친(和親)’, alliance relation ‘화친관계’, alliance treaty ‘화친조약. likewise’ 1. The alliance relation between the Han and the Hunnu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❶ the tribute-alliance period: When the Hunnu in the north was powerful while the Han in the south was weak, the Han sent a tribute to the powerful Hunnu. It 65 years from BC 198 to BC 133. ❷ the warfare period when the Han became strengthened and two powerful nations broke the alliance and had a warfare from BC 133년 to BC 52 for 81 years. ❸ the control alliance period when the Hunnu experienced the severe split and struggle and assumed the vassal to the powerful Han from BC 52 to AD 8 for 60 years. 2. In the tribute-alliance period, the weak Han carried the following to the powerful Han to keep the alliance. In the period when the north and the south stayed in the same powerful state. there was no alliance but warfare. I will deal with the two periods in another thesis. 3. In the tribute-alliance relation, the Han paid a tribute to the Hunnu as a vassal state. However, the Han was not the local state of the Hunnu or the history of the Han did not belong to that of the Hunnu. Meanwhile, in control-alliance relation, while the Hunnu pretended to be a vassal or subject state which is the dependent system used by the People’s Repubilc of China, the Hunnu was the local state or belonged to the history of the Han. Two amity treaties were the international relation to prevent the warfare and to keep the peace between the powerful nation and the weak nation. tribute-alliance and control-alliance should be the important meatures to discer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vestiture and the tribute in the foreign relation in ancient Korea society.

한국어

이 논문의 고갱이는 한나라가 흉노에게 공녀(貢女)와 공물(貢物)을 바 치고, 흉노를 천자라 부르고 자신을 폐읍(弊邑)이라고 했던 주종관계를 정확하게 밝혀내는 데 있다. 지금까지 중화인민공화국과 한국의 연구자 들은 역대 황제들이 주변 국가들로부터 공물을 받았던 기록만 가지고 잘못된 역사이론을 만들어냈기 때문에 책봉과 조공에 대한 올바른 역사 적 평가를 하지 못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중화인민공화국의 번속이론 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일방적 번속이론에 대한 반론이다. 이 논문에서는 『사기(史記)』와 『한서(漢書)』에 나온 흉노와 한(漢)의 화친 관계를 연구범위로 한다. 두 사서에서는 국제적인 조공관계를 화 친(和親, hé qīn)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어 글쓴이도 ‘화친(和親)’ ‘화친관 계’ ‘화친조약’이라는 용어를 그대로 썼다. 1. 한나라와 흉노의 화친 관계를 종합해 보면 다음 같은 3가지 시기로 나눌 수 있다. ❶ 북쪽의 흉노가 강하고(北匈奴强) 남쪽의 한이 약했을 때(南漢弱)는 약한 남쪽의 한(漢)이 강한 흉노에게 공물을 올린 봉공화친(奉貢和親) 시 기다. BC 200부터 BC 133년 사이의 67년간이다. ❷ 시기는 한나라가 강 해져 남북이 모두 강해지자 두 나라는 화친을 깨고 서로 싸우는 시기다. BC 133년에서 BC 52년까지 81년간이다. ❸ 흉노가 심각한 분열과 투쟁 으로 약해지면서 강한 한나라에게 스스로 신하라고 칭한(稱臣) 기미화친 (羈縻和親) 시기다. BC 52년에서 AD 8년까지 60년간이다. 2. 이 논문에서는 먼저 봉공화친(奉貢和親) 시기에 대해서만 보고 나 머지 두 시기에서는 다른 논문에서 다루려고 한다. 봉공화친 시기에는 약한 국가인 한나라가 강한 나라인 흉노에게 다음 3가지를 이행하여 화친을 유지하였다. 1) 매년 사신을 보내 흉노를 찾아뵙고 문안을 드렸다(朝獻). 2) 가장 특징적인 화친(和親)의 상징, 공녀(貢女)와 공환관(貢宦官). 3) 화친을 위한 물질적 보상, 공물을 바친다(奉貢物). 3. 위와 같은 봉공화친관계는 BC 140년 무제가 즉위한 뒤에도 계속되 었으나 BC 133년 이후 무제는 선왕들과 달리 흉노에 대한 반기를 들기 시작하여 흉노를 치기 시작하면서 끝없는 전투가 이어진다. 화친(和親)의 시대에서 적국과 불화친(不和親)=불화(不和)의 시대로 들어간 것이다. 4. 이처럼 봉공화친 시기에는 한나라가 신하국으로서 흉노에게 공물 을 바쳤으나 사가들은 한나라가 흉노의 번속국이라든가 지방정권이라 고 보지 않고 강한 나라와 약한 나라 사이에 전쟁을 막고 평화를 유지 하기 위한 국제적 화친(和親) 외교관계였다고 보았다. 이처럼 강약국 사 이에 힘의 불균형 때문에 맺은 두 나라의 불평등조약을 가지고 번속국 이라든가 지방정권이라고 하지 않고 '화친조약'이라고 본 것은 타당하 다고 본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역사관은 앞으로 한국 고대사 대외관계에 자주 등장하는 책봉과 공물의 성격을 규정하는데 중요한 잣대가 되어 야 할 것이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사신 파견과 문서를 통해서 본 흉노⋅한(漢)의 주종관계
Ⅲ. 공물과 공녀를 통해서 본 흉노⋅한(漢)의 주종관계
Ⅳ. 北强南弱시기 봉공화친의 역사적 성격
Ⅴ. 맺음말
<참고서적>
Abstrtact

저자정보

  • 서길수 SO Gilsu. 전 서경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