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毅菴 柳麟錫의 인물전 창작의 계보와 을미의병의 거병 논리 ― 유교적 정의론에 입각하여 ―

원문정보

The Genealogy of the Biography written by Euiam You In-seok and the Logic for Forming a Righteous army of 1895 - On the basis of Confucian justice -

의암 유인석의 인물전 창작의 계보와 을미의병의 거병 논리 ― 유교적 정의론에 입각하여 ―

안세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explored the genealogy of the biography written by Euiam You In-seok and analyzed the logic of forming the righteous army of 1895 based on Confucian justice. Yoo In-seok wrote 14 biographies, most of which were biographies of a righteous men and a women who kept her chastity. This relates to the lineage of Confucian neutralism that leads to the Juhee-Song Siyeol-Hwaso School. However, he emphasized the superiority of Confucian culture and strongly criticized pro-Japanese figures representing Western culture. This was not irrelevant to his righteous army activities. Without the king's order, Yu In-seok's righteous army recruited troops, killed officials, and collected assets from the people to procure military supplies. This violates the laws of the country and flies in the face of the Confucian spirit of rejecting force. However, the motto of righteous army formation was revenge for the queen and restoration of Confucian culture. This is based on Confucian scriptures and was promoted systematically and social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short, the righteous army activity of 1895 was a thorough practice of Confucian justice. However, revenge and Confucian neutralism are the most rigid aspects of Confucian justice. In an era of Western culture, Confucian scholars who tried to protect Confucianism were the only way to choose.

한국어

본고는 한말의 학자이자 의병장인 毅菴柳麟錫(1842-1915)의 인물전 창 작의 계보를 살펴보고, 을미의병을 입전한 작품을 중심으로 을미의병의 거병 논리를 유교적 정의론에 입각하여 분석해 보았다. 유인석은 14편의 인물전을 남겼는데, 입전 대상은 충의지사와 열녀로 대별되며 주제의식은 尊王攘夷의 華夷論으로 수렴된다. 유인석 인물전의 입전 대상과 주제의식은 주희-송시열-화서학파로 연결되는 화이론의 계보 와 맥을 같이하였다. 다만 유인석은 서양문화에 대한 유교문화의 우월성 을 강조하고 서양문화를 대변하는 친일 인사를 강도 높게 비판한 점이 특 징적이었다. 이는 유인석이 의병활동을 전개한 것과 무관하지 않았다. 을미의병은 임금의 명도 없이 군대를 모집하여 관리들을 처형하고 백 성들의 재물을 징수하여 군비를 충당하는 등, 국법을 어긴 것은 사실이었 다. 더욱이 仁義에 근간한 文治를 주창하고 武力을 배격하였던 유교정신 에 배치되어 보이기까지 한다. 그러나 을미의병의 기치와 활동에는 春秋 大義論와 復讐論이라는 유교적 정의관이 근저에 자리하고 있었다. 을미의병을 입전한 「砲手金敬達傳」과 「申在憙傳」에 공통적으로 보이는 을미의병의 거병 논리는 국모의 시해에 대한 복수와 화이론으로 대변되 는 유교문화의 복원이었다. 의병들은 친일 인사를 ‘亂臣賊子’로 규정하고 난신적자는 누구나 주살할 수 있다는 춘추대의론에 입각하여 친일 인사 를 처단하였다. 또한 군부‧국모와 백성의 관계를 부모와 자식의 관계로 등 치시키고, 부모에 대한 복수의 차원에서 거병의 정당성을 주장하였다. 춘 추대의론과 복수론은 유교 경전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더욱이 조선후기 사회에서 이는 제도적·사회적으로 용인되는 것을 넘어 선양되기까지 하였 다. 곧 을미의병의 활동은 춘추대의와 복수라는 유교적 정의를 철저하게 실천한 것이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유인석 인물전의 특징과 그 계보
Ⅲ. 을미의병의 거병 논리와 유교적 정의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세현 Ahn, Se-hyun. 강원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