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불교판화를 통해 본 西夏 불교도상의 東傳

원문정보

Transmission of Buddhist Iconography of Western Xia as Reflected in Buddhist Prints

불교판화를 통해 본 서하 불교도상의 동전

김자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stern Xia (西夏, 1038‒227) existed from the eleventh to the thirteenth century. During its short life as a nation, however, it published an enormous quantity of Buddhist scriptures which included woodcut prints inspired by Buddhist art of China (Zhongyuan region) or Tibet. These prints reflected either of the styles from those two origins, amalgamated both, or featured new styles imbued with the taste of Western Xia people. Buddhist prints of Western Xia were introduced to the mainland China as Buddhist monks from Western Xia, such as Guan Zhuba (管主八), led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canons in the Yuan dynasty, and subsequently underwent stylistic changes as they were engraved and printed by Han Chinese printmakers. Prints included in the Qisha Canon (磧砂藏), Puning Canon (普寧藏), and Tangut Tripitaka (河西字大藏經) commonly reflect the style of Buddhist prints from Western Xia with Tibetan elements, including square-shaped face and broad front of figures, jewel at the top of the Buddha’s ushnisha, and double-layered aureoles with an outer arch aureole adorned with diverse designs and an inner oval aureole that surrounds the head and shoulder of the Buddha following the curves of his body. However, the feel of Tibetan Buddhist art was attenuated in these prints with the addition of aesthetic sense of the Yuan people and Chinese iconography. A good example is the prints of the Avatamska Sutra in the Tangut Tripitaka, which are based on the prints of Western Xia but with the Tibetan details (e,.g., aureoles, pedestals, robes) changed to meet the taste of the Yuan people. Yuan Buddhist prints inspired by Buddhist art of Western Xia, including those in the Tangut Tripitakana, continued to influence Buddhist art of China from the subsequent Ming to the Qing dynasty and even had significant impact on Buddhist art of Goryeo and Joseon.

한국어

서하는 11-13세기경 짧은 기간 동안 존재했던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수량의 경전을 간 행하였고, 불교판화 또한 그들의 신앙 경향에 따라 전통적인 중국의 중원지역과 티벳의 불교 판화 들을 각각 수용함은 물론, 이 두 양식을 조합하거나 자신들의 미감을 가미한 독자적인 양식을 창 출해냈다. 이후 서하의 판화는 管主八과 같은 서하의 승려들이 원나라의 대장경 간행을 주관하게 되면 서 중국 본토로 유입되게 되었고, 이 판화들은 漢族 장인들에 의해 판각, 인출되면서 다시 한 번 변화를 겪는다. 원대에 간행된 ‘磧砂藏’, ‘普寧藏’, ‘河西字大藏經’의 판화들은 공통적으로 서하 불 교판화의 영향으로 방형의 얼굴, 넓은 이마, 육계의 끝에 표현되는 정상계주, 키형의 신광과 다양 한 문양들로 장엄된 아치형의 거신광 등의 티벳 불화의 요소들을 수용하면서도 당시 원나라인들 의 미감을 반영하여 티벳불화의 느낌을 약화시키고 거기에 중국적인 도상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변용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하서자대장경’의 『華嚴經』판화는 서하의 판화를 底本으로 하면서도 판화 안에 보이는 티벳적 요소들, 즉 광배, 대좌, 법의 등의 세부 표현을 당시인들의 취향에 맞게 변형하여 다시 판각한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진다. 그리고 이 판화를 포함하여 서하 불교판화의 영 향을 받아 제작된 원대의 불교판화들은 원대는 물론 이후 명과 청, 고려와 조선의 불교미술에까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목차

I. 머리말
II. 西夏와 高麗의 불교도상
III. 서하의 佛典간행과 불교판화
IV. 元代 서하불교도상의 유입
V.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자현 Kim, Jahyun. 울산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