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祖師 信仰과 祖師圖 연구 - 三十三祖師圖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Study on Zen Master Worship and Paintings - Focusing on Thirty-Three Zen Masters

조사 신앙과 조사도 연구 - 삼십삼조사도를 중심으로

신광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Zen Buddhism forms the most extensive area in East Asian Buddhism, and the worship of the Zen masters who inherited the teachings is very strong. Zen master worship was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commemorating the deeds of Zen masters or the Master who established the sect and passing down the lineage. Zen master paintings were also actively produced along with the spread of faith, and various themes and forms exist within that category.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Thirty- Three Zen Masters paintings among various types. This is because the painting of the Thirty-Three Zen Master is the root and starting point of the genealogy of the Zen masters, and the paintings were continuously produced in Korea from the Goryeo to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conography of Korea's Thirty-Three Zen Master Painting was establish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unmunjosayecham-uimun(禪門祖師禮懺儀文, the Ritual Book for the Zen Masters). Also, in China, it was compiled through Sancai Tuhui(三才圖會) published during the Ming Dynasty. The icons of these two genealogies were both accepted in th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ost representative paintings are the Thirty-Three Zen Master painting of Haeinsa Temple and the one of Seonamsa Temple. Also,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iconography, the contents of the book, Jingde Chuandenglu(景德傳燈錄) had a lot of influence. In addition, most of the ritual books for the Zen Master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enance and offering, and in Korea, the books were establish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continued until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attempted to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iconography in a complex way. In addition, it can be seen as an achievement in that it identified texts that had not been previously dealt with, and found that related ritual books were published in the Goryeo Dynasty.

한국어

祖師 信仰은 禪門 祖師 혹은 開山祖의 행적을 추모하고 師資相承의 系譜를 전승하는 과정에 서 성립되었다. 祖師圖 역시 신앙의 성행과 더불어 활발히 제작되었고 그 범주 안에는 다양한 주 제와 형식이 존재한다. 본고는 그중 三十三祖師圖를 주로 다루었다. 三十三祖師가 선문 조사 계 보의 뿌리이자 출발점이며, 三十三祖師圖는 한국에서도 高麗에서 朝鮮까지 꾸준하게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한국 삼십삼조사도의 도상은 고려 때 성립되었고 이는 『禪門祖師禮懺儀文』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국의 경우, 초기 작례는 남아 있지 않지만, 明代 『三才圖會』 ‘삼십삼조사도’를 통해 집 성되었다. 이 두 가지 계보의 도상은 모두 조선후기 삼십삼조사도에 수용되어 있으며, 대표작으로 해인사본과 선암사본을 꼽을 수 있다. 그리고 도상의 성립 과정에서 『景德傳燈錄』에 수록된 내용 이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한편 조사 의식문은 대부분 ‘예참’과 ‘봉청’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고려 때 성립된 후 조선까지 계승되었고, 계승 과정에서 추가, 보완되었다. 선종은 동아시아 불교에서 가장 광범위한 영역을 형성하고 있으며, 법통을 계승한 선사들에 대한 숭배 신앙은 매우 공고하다. 조사 신앙과 관련된 기존 연구는 주로 불교사 영역에서 개진되 어 왔으며 조사도 연구는 주로 미술사 분야에서 다뤄져 왔다. 본고는 기존의 분절적 연구 방법론 을 넘어 신앙과 도상과의 상관성을 복합적으로 다뤄보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 각한다. 또한 기존에 다뤄지지 않았던 도상학을 규명했으며, 의식문이 이미 고려시대에 간행되었 음을 찾아 밝혔다는 점도 성과라고 볼 수 있다.

목차

I. 머리말
II. 傳燈 系譜와 祖師圖의 성립
III. 三十三祖師圖의 圖像과 圖像學
IV. 儀文과 信仰 儀禮
V.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광희 Shin Kwanghee.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