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인관계 역경 경험 대학생들의 역경 후 부정적 정서에 대한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의 효능 및 조절변인으로서의 개입 전 우울증상

원문정보

Effects of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on Post-adversity Negative Emotions and Pre-Intervention Depressive Symptoms as its Moderator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Interpersonal Adversities

조승연, 조용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for several kinds of post-adversity negative emotions and evaluated the role of pre-intervention depressive symptoms as a moderator in the treatment effects. Of the university students who reported a history of interpersonal adversities, 30 were provided with the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and 29 with daily writing intervention. Compared with the participants in the condition, those in conditio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ost-adversity anger at 2-week follow-up assessment. For post-adversity betraya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and the daily writing intervention before intervention, but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terventions.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kinds of post-adversity negative emotions were not found between the two conditions. At the follow-up, the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was superior to the daily writing intervention in the levels of both post-adversity fear and post-adversity guilt among those with higher pre-intervention depression symptoms, but did not among those with lower pre-intervention depression symptom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is an efficacious treatment for post-adversity anger and betrayal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adversities, and that the intervention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post-adversity fear and post-adversity guilt among those who both experienced interpersonal adversities and reported higher pre-intervention depression symptoms.

한국어

본 연구는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이 여러 종류의 역경 후 부정적 정서들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 이러한 효 과가 개입 전 우울증상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인관계 역경을 경험했다고 보고한 대 학생들 중에서 30명은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을, 그리고 29명은 일상적 글쓰기 개입을 제공받았다. 분석 결과,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 조건의 참가자들은 일상적 글쓰기 개입 조건의 참가자들에 비해 역경 후 분노 수준이 종결 2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역경 후 배신감의 경우 개입 전에는 두 가지 조건 간에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개입 후에는 일상적 글쓰기 개입조건에 비해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조건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하지만, 다른 종류의 역경 후 부정적 정서들의 수준에서는 두 조건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다 음으로, 종결 2주후에 역경 후 공포와 역경 후 죄책감 수준 각각에 대한 일상적 글쓰기 대비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이 미치는 효과는 개입 전 우울증상 수준이 높을수록 더욱 컸고, 그 외에 다른 종류의 역경 후 부정적 정 서들에 대한 개입의 효과는 개입 전 우울증상 수준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이러 한 결과들은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이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의 역경 후 분노와 배신감 수준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며,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 중에서 개입 전 우울증상 수준이 높은 사람들에게서 역경 후 공포와 역 경 후 죄책감을 낮추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 대상
측정 도구
연구 절차
자료 분석
결과
참가자들의 대인관계 역경 경험 유형 및 경과기간 분포
집단 간 사전 동등성 검증
자기자비에 대한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의 효과(조작 검증)
개입 전 우울증상의 조절효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승연 Seungyeon Cho. 한림대학교, 대학원생; 현재 파주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조용래 Yongrae Cho.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