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Adaptive Self-Talk on Test Anxiety, Automatic Thinking, Self-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Test Anxiety Tendenc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aptive self-talk on test anxiety, automatic thinking, self-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test anxiety tenden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8 out of 530 university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ith a test anxiety (TAI-K) score of 80 or higher, and were allocated wirelessly to the training group(18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20 students). The training group supplemented the self-instruction training of Meichenbaum (1971) with an adaptive self-talk that helps in cogni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provided for a week, and the control group was the waiting group without treatment. Both groups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test anxiety, automatic thinking, cognitive and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and lif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After the experiment,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test anxiety psycholog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ethics, and the training group completed a follow-up questionnaire 2 weeks before the final exam for extra anxiety contro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gree of test anxiety and negative automatic thinking decreased in the training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ositive automatic thinking tended to increase, and there was a change in the acceptance and self-criticism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However, test anxiety was found to maintain the improvement effect after about 2 months of participation in the experiment, suggesting that self-instruction training helps university students with test anxiety tendency through adaptive self-talk to correct cognition and behavior related to social anxiety.
한국어
본 연구는 시험불안 경향성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응적 자기대화가 시험불안 및 자동적 사고, 자기 조절,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530명 중 시험불안(TAI-K)점수 가 80점 이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38명이며, 훈련집단(18명), 통제집단(20명)으로 무선 할당되었다. 훈 련집단은 Meichenbaum(1971)의 자기지시훈련을 인지 및 정서조절에 도움을 주는 적응적 자기대화로 보완하 여 일주일간 제공되었고, 통제집단은 무처치 대기집단이다. 두 집단 모두 사전과 사후에 시험불안, 자동적 사고, 인지적․정서조절 전략, 삶의 만족도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통제집단은 연구윤리에 따라 사후 에 시험불안 심리교육이 제공되었고, 훈련 집단은 가외변인으로 불안통제를 위해 기말고사 2주 전 추후 설 문을 완료하였다. 연구 결과, 훈련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시험불안 및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정도가 감소 하였고, 긍정적 자동적 사고는 증가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용과 자기비난의 변화 가 있었다. 하지만 삶의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시험불안은 실험 참여 약 2달 후 추후에서도 개선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지시훈련이 시험불안 경향성이 있는 대학생에게 적응적 자기대화를 통해 사회불안 관련 인지 및 행동 수정에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목차
방법
연구대상
연구절차
훈련 내용 및 구성
측정도구
자료 분석
결과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
훈련에 따른 효과 검증
훈련에 따른 지속효과 검증
변인별 사전-사후, 사전-추후에 대한 효과크기 검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