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코로나19 위험 커뮤니케이션 탐색 연구 : 소셜 미디어 의존 이론을 응용한 정부와 일반인 유튜브 콘텐츠와 댓글 내 담론 분석

원문정보

The Discourse Analyses of the Youtube Contents and Their Replies on the COVID-19 Risk : Applying the Social Media Dependency Theory

정원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y differences of the youtube contents upload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publics, and their replies related to the COVID-19 risk, and the periodical changes of the overall discourse trends along with the three Korean COVID-19 pandemic periods. Methods For the end, this study used several big data analysis methods such as a term frequency analysis, a topic modeling wit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and a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after collecting the whole dat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ll of the risk communication channels used different terms in different ways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agenda, discourses and frames regaring the COVID-19 risk over time. Conclusion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governmental risk communication management in terms of risk information adequency, transparency, openness, relationshipbuilding and two-way interactivies were discussed.

한국어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위험 상황에서 소셜 미디어 의존 이론을 기반으로, 소셜 미디어를 대표하는 유튜브상 코로나19 대응 주무 정부 기관이 생성하고 업로드한 콘텐츠와 이에 대한 댓글, 그리고 정부 기관이 아닌 일반인이 생성하여 공유한 유튜브 콘텐츠와 이에 대한 댓글 내 담론을 비교 분석하였다. 나아가, 국내 코로나19 1차 대유행 시점부터 현 진행 상황인 3차 대유행 추이에 맞게 시계열적 추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유튜브 콘텐츠 추출 프로그램으로 모집된 총 823건의 정부 기관 콘텐츠, 이에 대한 1만1399건의 댓글, 일 반이 업로드한 1088건의 콘텐츠와 이에 대한 8만9816개의 댓글을 대상으로 주제어 빈도 분석, 토픽 모델 링의 LDA 분석과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 분석을 통한 동시 출현(co-occurrence) 단어와 최종 핵심어를 도출하였다. 결과 각 대유행 시기별 정부 기관의 유튜브 콘텐츠는 코로나19 발생 상황, 확진자나 격리자 정보, 감염 경로 등과 같은 위험 정보 제공 등 신속성과 일관성 그리고 투명성 부분에서 통일된 메시지가 전달되었다. 하지만, 정부 기관 내용에 대한 댓글이나 일반인 콘텐츠 및 그 댓글은 대유행마다 존재했던 이슈에 좀 더 구체적이고 민감 하게 반응하였다. 1차 대유행 시기에는 정부의 방역 노력에 대한 감사 표현과 찬사가 많았지만, 대유행이 3 차로 이어지면서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정부 대책의 미비 및 정책적 실효성에 대한 부정적인 목소리도 다수 존재하였다. 논의 및 결론 코로나19 이슈는 소멸된 위험 이슈가 아닌 지금도 진행형이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직결하 는 높은 위험성을 지니기에, 위험 관리 측면에서 정부의 효율적이며 전략적인 양방향 위험 커뮤니케이션 역 할을 강조하는 논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문제 제기
선행 연구
국내 코로나19 진행 상황과 정부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대응
위험 커뮤니케이션
소셜 미디어 의존 이론
댓글 분석의 가치
연구 방법
데이터 수집
데이터 클리닝
데이터 분석
연구 결과
코로나19 1차 대유행(2020년 1월 29일∼2020년3월 29일)
코로나19 2차 대유행(2020년 7월 27일∼2020년 9월 27일)
코로나19 3차 대유행(2020년 11월 25일∼2021년 1월 26일)
논의 및 함의
결과 요약
함의
연구 한계 및 후속 연구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정원준 Wonjun Chung. 수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