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패션 유튜버의 동영상 콘텐츠와 패션 유튜버 특성과의 관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YouTubers’ Video Contents and Fashion YouTubers’ Characteristics

최유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the popularity of YouTubers who provide video content in the fashion and beauty fields is increasing, there has been no research analyzing video content of YouTubers specialized in the fashion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10 fashion YouTubers’ top 30 videos, totally 300 videos were selected based on the high number of subscribers. The contents of popular fashion YouTubers were analyzed by thumbnail, title of 300 videos.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content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YouTubers, this study analyzed what attributes are related to the secrets of popular content through their connection to five categories: professionalism, charm, originality, fame, and familiarity. Fashion YouTubers’ contents are composed of styling, howl-unboxing, fashion information, daily life, store visits, and DIY. In the order of high proportion, styling is in the order of TPO, body type, trend, howl & unboxing is in the order of season, item, brand, amount, shopping mall, and fashion information is in the order of recommendation, review, beauty, and shopping method. Daily life is in the order of identity-related, diet & beauty, overseas & daily escape, SPA, global luxury brands, and fashion street, and lastly DIY is in the order of shoes, clothing, and other, but it does not account for much of the entire content. Fashion YouTubers’ contents were also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rs. The professional group was related to styling and daily content, and the attractiveness group was highly related to styling, howl-unboxing, and fashion information, which was popular among subscribers, mainly by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nd presenting how to unbox or style them. In addition to content in specialized fields, the originality group showed high relevance to daily content. Famous group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low correlation between fame and content because they were widely related to howl-unboxing, fashion information, store visits, and daily content. The friendliness group was highly related to styling, howl-unboxing, and fashion information content, and it kindly explained how to coordinate clothes in a friendly way, fashion information, and product purchase reviews. This study is valuable as a pioneering study because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the content of individual fashion YouTubers working in the fashion field so far, and can provide a little significant answer for fashion YouTubers to the question on how to link differentiated qualities with content.

한국어

패션과 뷰티 분야의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유튜버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지만, 패션 분야에 특화된 유튜 버의 동영상 콘텐츠를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구독자 수가 많았던 순위를 기준으로 10명의 패션 유튜버를 선정했으며, 각 유튜버의 인기 상위 30개의 동영상, 총 300개의 동영상의 섬네일과 영상의 타이틀, 동영상의 내용을 조사 대상으로 인기 패션 유튜버의 콘텐츠를 분석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는 인기 콘텐츠와 유튜버 개인의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인기 콘텐츠의 비결에는 어떠한 속성이 연 관되어 있는지를 전문성, 매력도, 독창성, 유명도, 친근감의 5가지 항목과의 관련을 통해 분석했다. 패션 유튜 버의 콘텐츠는 스타일링, 하울⋅언박싱, 패션 정보, 일상, 매장 방문, DIY의 순으로 비중이 높게 구성되었으 며 비중이 높은 순서대로 콘텐츠의 내용을 살펴보면 스타일링은 TPO, 체형, 트렌드 순으로, 하울⋅언박싱은 계절, 아이템, 브랜드, 금액, 쇼핑몰이라는 주제 순으로, 패션 정보는 추천 및 리뷰, 뷰티, 쇼핑법 순으로 비중 이 높게 나타났다. 일상은 정체성 관련, 다이어트와 미용, 해외여행 및 일상 탈피의 순으로, 매장 방문의 경우 는 SPA,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패션 스트리트 순으로, 마지막으로 DIY는 신발, 의류, 기타의 순이지만 전체 콘텐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는 유튜버 개인의 특성과도 관계가 있 었다. 전문성 그룹은 스타일링, 일상 콘텐츠와 관련이 있었으며, 매력도 그룹은 스타일링, 하울⋅언박싱, 패션 정보와 관련성이 높았는데, 주로 패션 제품을 구입해서 하울⋅언박싱하거나, 그것을 통해 스타일링 하는 방 법을 제시하면서 구독자의 인기를 끌었다고 볼 수 있다. 독창성 그룹은 특화된 분야의 콘텐츠 외에 일상 콘텐 츠와의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유명도 그룹은 하울⋅언박싱, 패션 정보, 매장 방문, 일상 관련 콘텐츠와 널리 관련이 있었기 때문에 유명도와 콘텐츠와의 상관관계는 낮다고 해석할 수 있다. 친근감 그룹은 스타일 링, 하울⋅언박싱, 패션 정보 콘텐츠와의 관련성이 높았는데, 친근한 말투로 옷을 코디하는 방법이나 패션 정보와 제품 구매 후기 등을 친절히 설명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패션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개인 패션 유튜버의 콘텐츠에 관한 연구가 없었던 만큼 선구적인 연구로 가치가 있다고 하겠으며, 패션 유튜버가 되고자 희망하는 이들에게는 유튜버로서의 차별화된 자질을 콘텐츠와 어떻게 연결해 발전해나갈 지에 관한 작은 해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패션 유튜버
2. 유튜버의 특성
Ⅲ. 연구 방법
1. 연구 방법과 범위
2. 패션 유튜버의 선정
Ⅳ. 패션 유튜버의 동영상 콘텐츠와 유튜버 특성과의 관계 분석
1. 패션 유튜버의 동영상 콘텐츠별 특성
2. 패션 유튜버의 특성과 콘텐츠와의 관계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최유진 Choi, Yoojin. 대구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