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고 의류의 재판매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Study of Online Platform Services for Secondhand Clothes Resale and Social Network Service Utilization

임민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an increase in platforms and a change in consumption patterns, the secondhand clothes resale market grows up fast. This study analyzed the resale characteristics of secondhand clothes, focusing on online platform service characteristics and influx, and the utilization of social media.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selected 56 resale trading platforms to directly observe the resale product type and selling method of each platform and used Alexa and Similar Web for investigation of platform influx method and SNS utiliz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resale products treated in each platform were classified into luxury goods and mass volume products. Second, resale clothing platform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Luxury Goods - Consignment Sale type(B2C), Luxury Goods - Direct Sale type(C2C), Mass Value Products - Direct Sale type(C2C), Purchase and Sale type(B2C), and Trade-in type(B2C), and the analytic result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lling method are as follows. Luxury Goods - Consignment Sale type(B2C) provides various services and has a revenue model that imposes fees on selling pri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vision of the service. Luxury Goods - Direct Sale type(C2C) provides a service so that used goods from luxury brands can be traded between individuals and services for the warranty of genuine products and product valuation. Mass Value Products - Direct Sale type(C2C) can make free pricing, bargaining between individuals, or information exchange and has a characteristic that platform fee is a revenue model. Purchase and Sale type(B2C) prepares clothing pickup service and quick payment system to get profits from sales by the resale of the purchased clothing. Trade-in type(B2C) provides a community-oriented service in the platform and the amount of money from secondhand clothes resale to be used in purchasing different products. Profits were made through advertising by providing information in a fashion magazine format. Lastly, as for the selling method according to product type, the ratio of direct selling was high, while for luxury brand merchandise, the ratio of consignment sale was high. As for the utilization of social media, for both luxury goods and mass value products, Facebook was preferred, and for mass value products, the use of YouTube was also high. Also, as for the purchase and consignment methods, the ratio of the use of Facebook was high, but as for the direct selling method, the ratio of the use of YouTube was high. In addition, various social media were utilized compared to the purchase and consignment methods.

한국어

플랫폼의 증가와 소비 패턴의 변화로 중고 의류의 재판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고 의류의 재판매 특성을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특징과 유입 경로, SNS의 활용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연구 방법은 재판매 거래 플랫폼 56개를 선정하여 재판매 상품의 유형과 판매 방식을 직접 관찰하였 으며, 플랫폼 유입 방식 및 활용 SNS 조사는 알렉사와 시밀러웹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각 플랫폼에 서 취급하는 재판매 상품은 럭셔리 상품과 매스 밸류 상품으로 분류된다. 둘째, 재판매 의류 플랫폼을 취급 상품과 판매 방식에 따라 럭셔리 상품-위탁 판매형(B2C), 럭셔리 상품-직접 거래형(C2C), 매스 밸류 상품-직 접 거래형(C2C), 매입 판매형(B2C), 보상 판매형(B2C)의 5가지로 유형화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럭셔리 상품-위탁 판매형(B2C)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 정도에 따라 판매금액에 대한 수수료를 부과하는 수익 모델을 가지고 있다. 럭셔리 상품-직접 거래형(C2C)은 럭셔리 브랜드의 중고 상품을 개인 간 거래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품의 진품 보증과 상품 감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매스 밸류 상품-직접 거래형(C2C)은 자유로운 가격 책정, 개인 간 가격 흥정이나 정보 교류가 가능하며 플랫폼 사용료가 수익 모델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매입 판매형(B2C)은 의류 수거 서비스와 빠른 결재 시스템을 갖추 고 매입한 의류의 재판매 매출로 수익을 얻는다. 보상 판매형(B2C)은 플랫폼 내에서 커뮤니티 지향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고 의류 재판매금액을 크레디트로 제공하고 다른 상품 구매에 사용하도록 한다. 수익은 패션 잡 지 형식의 정보 제공으로 광고를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품 유형에 따른 판매 방식은 매스 밸류 상품은 직접 판매 비율이 높고 럭셔리 브랜드 상품은 위탁 판매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 미디어 활용은 럭셔리 상품과 매스 밸류 상품 모두 페이스북을 선호하였으며, 매스 밸류 상품은 유튜브 사용 또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매입과 위탁 방식은 페이스북 사용 비율이 크게 높은 것과 비교해 직접 판매 방식 은 유튜브 사용 비율이 높고 다양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재판매 의류 개념과 중고 의류에 대한인식 변화
2. 럭셔리 브랜드 의류 상품 소비 증가에 따른 의류 재판매 활성화
3. 재판매 의류 플랫폼
Ⅲ.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1. 플랫폼 유형 및 판매 방식에 따른 중고의류 재판매 특성
2. 의류 재판매 플랫폼 트래픽 유입 방식
3. 소셜 미디어 활용 및 플랫폼 유입 경로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임민정 Im, Min Jung. 서원대학교 패션의류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