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상매체에서 스크린의 본질과 의미 변화 :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별자리>, <푸른>, <10월의 울림>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Nature and Changing Meaning of the Screen in Video Medium : Apichatpong Weerasethakul’s Constellations, Blue, and October Rumbles

최수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at is a screen in the cinema, or what was it? What could we think anew about cinema as the age of the screen fades away? How could we look at moving image works that explore this as a main theme? In this article, I take a look at the recent moving image works of the filmmaker Apichatpong Weerasethakul, who uniquely explores the screen as the subject of the film. “Constellations”, the 2018 Gwangju Biennale commission site-specific artwork, reflecting memories on the installations at Armed Forces’ Gwangju Hospital; “Blue”, featuring the burning moments of a sleeping person's body and a picture pulley screen; and Apichatpong's latest work “October Rumbles”, released on a gallery website in autumn 2020,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inema as a medium. This article attempts to find answers to the question of what significance cinema screens and moving images could carry in today's nature-mediaenvironment, and what mediality the screen has in a changed media environment. Imitating nature, the cinema continues to act as a medium for experiencing dreams. Since a ‘dream’ is a natural phenomenon in itself, today's ‘screen’ is a natural ‘retinal of dreams’ and is expanding its residence to new ‘surfaces’, constantly projecting human dreams-experiences into nature.

한국어

영화 매체에 있어서 스크린이란 무엇일까, 또는 무엇이었을까? 스크린 의 시대가 저물면서 영화에 대해 우리는 무엇을 새롭게 생각할 수 있을 까? 또한, 이를 무빙이미지의 재료이자 주제로 삼아 탐구하는 작품들을 어떻게 바라볼 수 있을까? 이 논문에서는 스크린을 영화의 주제로 독특하 게 탐구하고 있는 영화작가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최근 무빙이미지 작품 들을 살펴본다. 2018년 광주비엔날레 커미션 작품으로, 폐허가 된 국군광 주병원에 설치되어 기억을 고찰하는 장소특정적 미술작품인 <별자리 Constellations>, 잠자는 사람의 몸과 그림 도르래막 스크린의 불타오르는 순간들을 담은 <푸른 Blue>(2018년), 그리고 스크린과 자연의 관계를 탐 구하는, 2020년 가을 어느 갤러리 웹사이트에서 발표된 아피찻퐁 위라세 타쿤의 근작 <10월의 울림 October Rumbles>을 이 글에서 되새긴다. 영화 스크린, 나아가 무빙이미지로서의 영상이 오늘날의 자연-매체-환 경 속에서 무엇으로서 존재할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급격히 변화하고 있 는 매체 환경에서 스크린은 어떤 매체성을 지니는가, 라는 물음들에 대한 답 찾기를 이 글은 시도한다. 자연이 그러하듯이 끊임없이 변형을 거듭하면서, 매체로서의 영화는 ‘꿈의 경험’을 계속해서 그려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꿈’은 그 자체로 자 연적 현상이기에, 오늘날 ‘스크린’은 본래의 ‘꿈의 망막’으로서 자연인 동 시에, 새로운 ‘표면들’로 자신의 거처를 넓혀가며 인간의 자연적인 꿈-경 험을 자연 속에 끊임없이 새롭게 영사시켜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스크린’
(1) 폐허: <별자리 Constellations>
(2) 불타는 꿈자리: <푸른 Blue>
(3) 자연: <10월의 울림 October Rumbles>
3.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수임 Sooim Choi. 비엔나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