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지각 이론의 관점에서 본 현대 중국 애니메이션의 장면 디자인 연구 :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강자아(姜子牙)>(2020)에서 구현된 전통 미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cene Design of Modern Chinese Ani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Perception Theory : Focusing on the Tradition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Theater's Featured Animation Legend of Deification(2020)

유춘뢰, 문현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egend of Deification”(姜子牙), a feature-length animation released in China in 2020, has been pointed highlighted as a representative work of so-called Chinese-style animation for its poor storytelling and lack of character vitality, However, in terms of its formative aspects, it is said to have succeeded in inheriting and visualizing the tradition of painting and calligraphy. The implementation of traditional aesthetics is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that Chinese animation has pursued steadily since its early history, but there are still mixed views on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 animation genre. This paper applies Rudolf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based on Gestalt psychology to more objectively explain the three features of traditional Chinese aesthetics: the combination of dynamic and static(靜中動), mutual promotion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虛實相生), and images abstracting from viewing(觀物取象), and how they are embodied in the concrete animation “Legend of Deification” We first consider the theoretical basis of Arnheim's theory of visual perception, animation, and traditional Chinese aesthetics, explaining how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visual perception by Arnheim is consistent with the logic characterizing traditional aesthetics. Next, we confirm that, on the premise of this theoretical commonality, the animation “Legend of Deification” has succeeded in animating costumes using traditional aesthetics by driving motion in silence by symmetry, expressing unrealistic reality and unrealistic reality by highlighting visibility.

한국어

2020년 중국 현지에서 개봉한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강자아>는 이 른바 중국풍(中國風) 애니메이션의 대표작으로서 스토리텔링의 빈약함과 캐릭터의 생동감 부족 등을 지적받았지만, 조형적인 측면에서는 회화 및 서예 미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통 미학의 구현은 중국 애니메이션이 초기 역사부터 줄기차게 추구해왔던 방향성과도 일치하지만, 구체적인 애니메이션 작품에 대한 적 용에서는 여전히 엇갈리는 견해들이 존재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게슈탈트 심리학에 입각한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적용하여 중국 전통 미학 중 정중동(靜中動), 허실상생(虚实相生), 관물취상(觀物取象)이라는 세 가지 미학적 특징을 보다 객관적으로 해명하고, 이러한 특징들이 <강 자아>라는 구체적인 애니메이션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과 애니메이션, 중국 전통 미학의 이론적 기초를 고찰하고, 시지각 이론이 예술과 시지각 사이의 관계를 논 의하는 방식이 전통 미학의 의상론(意象論)의 특징적 사유와 상통함을 설 명하였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이론적 공통성을 전제로 애니메이션 <강자 아>가 대칭 속의 비대칭에 의한 고요 속의 운동을 추동하고, 가시성에 의 한 비가시성의 강조를 통해 현실의 비현실성과 비현실의 리얼리티를 표현 함으로써 서사의 결핍을 보완하며, 장면화된 객관적 이미지의 표현성과 예술가 및 관객의 주관적 지각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통 미학 속의 의상을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중국 애니메이션의 장면 디자인과 전통 미학에 대한 시지각 이론의 적용
(1)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과 애니메이션 장면 디자인의연관성
(2)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에 의한 중국 전통 미학의 이해
3. 중국 애니메이션 <강자아(姜子牙)>의 장면 디자인과 전통 미학의 운용
(1) 고요 속의 운동을 추구하는 정중동(靜中動)의 구도
(2) 단조로운 서사를 보완하는 형과 색, 허실상생(虛實相生)의 장면화
(3) 전통적인 의상의 표현성과 관물취상(觀物取象)의 주관적 지각 사이의 상호작용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춘뢰 LIU CHUNLEI. 세종대학교 공연・영상・애니메이션 대학원 박사수료생.
  • 문현선 Moon Hyoun-Sun. 세종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