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미지가 된 글자 : 타이포그래피적 숭고

원문정보

Letters that became an image: Typographical sublime

김동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the 20th century, the function of letters in the expression category of typography is not limited to character as a concept based on 'writing and reading'. Now, as the main material of typographic expression, letters have shifted from ‘reading letters’ to ‘seeing letters’ and have a position as an image. Letters as images have intu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This is in an opposing position to the role of traditional letters within the framework of characterization that presupposes objectific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e imaged letters are free from rules and methods that are subordinate to the character, and bring the subject's subjectivity and will to the fore through avant-garde techniques and experiments. This is the result of capturing human emotions and states toward the object and expressing it as a material called letters. The text that became an image has become an aesthetic phenomenon that we are actually experiencing now. Here, the aesthetic phenomenon refers to the result of externally revealing the idea or ideology of the subject expressed beyond the dimension of a fragmentary visual aspect. As an aesthetic phenomenon, this article looks at the letters that have become images in modern typography expressions from a sublime perspective. The characters that have become images are characterized by ‘no form’ that cannot be defined in a specific form, and reveal the ontological difference of the expressing subject. In addition, as an object that unexpectedly appears outside ou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letters, it is a dynamic movement of emotions and an opportunity for sublime experience, which is an aesthetic experience.

한국어

20세기 이후,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범주에서 글자의 기능은 ‘쓰기와 읽 기’에 바탕을 둔 개념으로서 문자성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제 타이포그래 피 표현의 주된 질료로서 글자는 읽는 글자에서 보는 글자로 이행하면서 이미지로서의 위치를 갖게 됐다. 이미지로서의 글자는 직관적이고 감성적 인 특성을 갖는다. 이는 주체와 대상 사이의 객관화를 전제로 하는 문자 성의 틀 안에서 전통적인 글자의 역할에 대해서 대립적 위치에 있다. 이 미지가 된 글자는 문자성에 종속되는 규칙이나 방법들로부터 자유로우며 기법상의 전위와 실험을 통해 표현하는 주체의 주관과 의지를 전면에 드 러낸다. 이는 대상에 대한 인간의 내적 감정과 상태를 포착하여 글자라는 질료로써 표현한 결과다. 이미지가 된 글자는 우리가 현재 실제적으로 경 험하고 있는 하나의 미적 현상이 되었다. 여기서 미적 현상이라 함은 단 편적인 시각적 양상의 차원을 넘어서 표현하는 주체의 관념이나 이념 등 을 외적으로 드러낸 결과를 가리킨다. 이 글은 미적 현상으로서 현대 타 이포그래피 표현에서 이미지가 된 글자에 대해 숭고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미지가 된 글자는 특정한 형식으로 규정할 수 없는 ‘형식 없음’을 특징으로 하며 표현하는 주체의 존재론적 차이를 드러낸다. 또한 글자에 대한 우리의 경험과 인식의 바깥에서 예기치 않게 나타나는 대상으로서 역동적인 감정의 움직임이자 심미적인 경험인 숭고 체험의 계기가 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글자의 이미지성
(1) 문자성과 글자의 이미지성
(2) 타이포그래피 표현에서 문자성과 이미지성
3. 글자의 이미지성을 드러낸 글자 실험의 여정
(1) 말라르메와 아폴리네르의 글자 실험
(2) 미래파와 다다의 글자 실험
(3) 포스트모던과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의 글자 실험
4. 타이포그래피적 숭고
(1) 숭고 논의의 의의
(2) 숭고 경험의 계기- ‘형식 없음’의 타이포그래피
(3) 개별성의 사건들- 내면에 알려져 있지 않은 의외성의 숭고
(4) ‘지금, 여기’에 마주하고 있음- 비결정성의 숭고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빈 Kim Dongbin. 동덕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