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과 일본의 웰니스관광정책 동향 분석 및 정책적 함의

원문정보

Trend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of Wellness Tourism Policy in Korea and Japan

김상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rends of wellness-related tourism polices in Japan, which have policy similarities with Korea, through related literature research and online interview surveys amid growing demand for wellness tourism in Korea‘s wellness tourism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survey, wellness tourism-related concepts do not differ particularly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 use of health tourism or wellness tourism concepts is more common in Japan than healing tourism. Wellness tourism policy is analyzed to be more systematic in Japan in the areas of policy principal agent‘s flexibility, policy efficiency, related certifi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Korea in the driving force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of policy. It was judged that Korea needs to establish a wellness tourism consultative body, such as the case of Japan, and improve efficiency through systematic certification of wellness tourism and qualitative management of related manpower. In order to industrialize wellness tourism,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healing effectiveness and product value of wellness tourism by organically linking wellness resources specialized by region, and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f the direction and strategies of wellness tourism policie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COVID-19) Era and an empirical study of tourism sites.

한국어

본 연구는 웰니스관광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관련 문헌연구와 온라인 면접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와 정책 적 유사성을 가진 일본과의 웰니스 관련 관광정책 동향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웰니스관광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강구 하였다. 조사 결과, 웰니스관광 관련 개념은 한일 양국 간 큰 차이는 없으나, 일본의 경우 치유(힐링)관광보다 헬스투어 리즘이나 웰니스관광 개념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니스관광정책은 정책주체의 유연성과 정책의 효 율성, 관련 인증 및 인력양성 분야는 일본이, 정책의 추진력과 제도적 정비는 우리나라가 보다 체계적인 것으로 분석되 었다. 우리나라도 일본의 NPO법인 헬스투어리즘진흥기구나 산림테라피소사이어티 사례와 같이 웰니스관광협의체를 구축하고, 웰니스관광의 체계적 인증 및 관련 인력양성의 질적 관리를 통해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판 단되었다. 또한 웰니스관광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지역별 특화된 웰니스자원을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웰니스관광의 치유적 효능과 상품적 가치를 제고시킬 필요가 있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웰니스관광정책의 방향과 대응전 략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과 웰니스관광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웰니스관광 개념 검토
2.2 선행연구 검토
3. 한국의 웰니스관광정책 동향 분석
3.1 웰니스관광정책 동향
3.2 웰니스관광 관련 정책 동향
4. 일본의 웰니스관광정책 동향 분석
4.1 웰니스관광정책 동향
4.2 웰니스관광 관련 정책 동향
5. 한일 양국의 웰니스관광정책 비교를 통한 정책적 함의
6. 결론 및 정책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상윤 Sang-Yoon Kim. 경동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