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major satisfaction, self-control on university students' job stres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8 to February, 2019 in 236 studen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lower the career maturity (β=-.258), job stress was the higher. Also, the lower major satisfaction (β=-.377), the higher the job stress, and the lower the self-control (β= -.275), the job stress was the higher. Through these results, education programs that link students from their childhood to college students are needed to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self-control(r=-.410, p<.001).
한국어
본 논문은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전공만족도, 자기통제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의하여 시도 되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부터 2019년 2월까지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빈도, 평균, 표준편차,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진로성숙도는 전공만족도와 통계적으 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452, p<.01). 진로성숙도는 취업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 -.555, p<.001) 전공만족도는 자기통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 .499, p<.01) 취업스트레스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410, p<.001). 진로성숙도(β=-.258)가 낮을수록 취업스트레스 는 높았고 또한 전공만족도가 낮을수록(β=-.377), 자기통제가 낮을수록(β= -.275), 취업스트레스는 높았다. 본 연구결 과를 통하여 진로성숙도, 전공만족도 그리고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린 시절부터 대학생까지 연계되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
2.1 Test methos
2.2 Instruments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