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공공장소의 수직정원 필요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Necessity of Vertical Garden in Public Places for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김철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Urban development has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co-friendly industry. In the public environment, citizens are stressed in many areas, which has really made them need a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nvironment into an eco-friendly urban public facility that breathes the urban environment space inside the building with plants. To this end, we want to show that the urban environment can be improved through vertical gardens. And through this, we want to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vertical gardens. (Research Methodology) we will analyz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ublic environment in the city and look at the supplementation around vertical gardens. (Result) A study of the public environment in the city found problems such as gloomy environment, poor use of space, dim color, and poor air quality, and wanted to create a vertical garden to provide a pleasant shelter. These vertical gardens have influenced urban public places with improved aesthetics, increased social value, insulation and soundproofing effects of buildings, reduced urban heat island effects, and increased urban green appearance. (Conclusion)This study uses vertical gardens in public spaces to design public spaces that are more comfortable and share mental and physical health together.

한국어

(연구배경 및 목적)도시 발전은 친환경 산업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공공 장소환경에서 시민들은 여러 분야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 진정으로 자연 생태 환경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건물 내부의 도시환경 공간 을 식물과 함께 호흡하는 친환경적인 도시공공 시설로의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직정원을 통해 도시환경 개선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수직정원 대중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현재 도시의 공공장소 환경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 보완을 수직정원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연구결과) 도시의 공공장 소환경에 대한 연구 결과 우울한 환경, 열악한 공간 활용, 희미한 색상, 열악한 공기 질 등의 문제점을 발견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직정원을 조성하여 쾌적한 쉼터를 제공하고자 했다. 이러한 수직정원은 도시공공장소에 심미성 개선, 사회 가치 증가, 건물의 단열 및 방음 효과, 도시 열섬 효과 감소, 도시 녹색 환경 증가 등의 영향을 가져왔다. (결론) 본 연구는 공공 장소공간에서 수직정원을 이용하여 더욱 쾌적하고 정신건강과 신체적인 건강을 함께 공유하는 공공장소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연구 방법
2. 도시공공장소환경에 대한 연구 고찰
2.1 수직정원의 기능성
2.2 수직정원 효과
2.3 Extension of Environments
2.4 공공장소환경의 문제점 및 개선 후 효과
3. 도시 공공장소의 수직 정원 사례 분석
4. 수직 정원이 도시 공공장소에 미친 영향
4.1 심미성 개선
4.2 사회 가치 증가
4.3 건물의 단열 및 방음
4.4 도시의 열섬 효과 감소
4.5 도시 녹색 외관 증가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철수 Kim Chul-soo. 부경대학교 공업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