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셜TV 이용자의 대상관계요인이 상호작용성과 시청만족을 통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Social TV User’s Object Relations Theory Factors Effects of Interac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김민규, 변제민, 권두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cial TV users and content are increasing day by day. The main purpose was to study the motivation for social television users, but I felt the need to analyze the potential psychological impact of users in various content.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due to the interac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by the object relations theory factors of social TV user in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of N university, ordinary university, and ordinary people who have experience using social TV to prove the observations or experiments of empirical facts in this study. Research result, First, Nonalienation have been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rac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Second, stable attachment have been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raction. Third, social competence have been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raction. Fourth, interaction have been have a positive effect on viewing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ifth viewing satisfaction have been have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his, Thi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ubdivided content and user-customized services for social television, and it is necessary to reconfigure and study various events that may occur between users in the future.

한국어

소셜TV 서비스 이용자와 콘텐츠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소셜TV 이용자의 이용동기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지만, 다양한 콘텐츠 속 이용자들의 잠재적인 심리적 영향을 분석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소셜TV 이용자의 대상관계 이론을 통해 상호작용성과 시청만족을 통해 심리적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험적 사실의 관찰 또는 실험을 증명하기 위해 소셜TV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충청남도 소재 N 대학, 일반 대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 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비소외는 상호작용성과 시청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안정애착은 상호 작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사회적능력은 상호작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네 번째 상호작용성은 시청만족과 심리적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시청만족은 심리적안 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셜TV의 세분화된 콘텐츠와 이용자 맞춤 서비스 개발에 이바지하 며, 향후 이용자 간에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현상들을 재구성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소셜TV(Social TV)
2.2 대상관계이론
2.3 상호작용성
2.4 시청만족
2.5 심리적안녕감
3.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2 연구가설의 설정
4. 연구 방법
4.1 변수의 조작적 정의
4.2 표본선정 및 자료 수집 방법
5. 실증분석
5.1 표본의 기술적 특성
5.2 측정모형 검증
5.3 측정모형 검증
6.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민규 Min-Gyu Kim.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빅데이터콘텐츠융합학과 석사과정
  • 변제민 Benjamin Byeon. 남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
  • 권두순 Do-Soon Kwon. 청운대학교 교양대학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