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17세기 대례용 용잠의 제작기법 조사와 보존처리 - 국가민속문화재 제4호 외재 이단하 내외옷 용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Conservation Treatment for Yongjam, Ceremonial Hairpin with a Dragon-shaped Engraving in 17th Century - Focusing on Yongjam of the Clothes Worn by Oejae Yi Dan-ha and His wife,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No.4 -

유동완, 안보연, 이량미, 이재성, 박영환, 유하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Yongjam of Oejae, Yi Dan-ha’s wife, is an ornamental hairpin with a dragon-shaped engraving; designated as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No. 4. It is also a component of the ceremonial costume, and an artifact of great value as it clearly identifies the position of the wearer and the period of this artifact. The Yongjam has been well preserved in general; however, various pollutants and corrosive products have affected the engraved patterns, requiring conservation treatment. Furthermore, a non-destruc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materials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used in the ornament. The Yongjam is hollow inside to reduce its weight when placed in the hair and has a color contrast of gold, red, and black. The decorative part and the body were made separately. That is, the body was made from an alloy of copper, silver, and zinc, and its joint was elaborately connected without any overlaps. In the decorative part, different alloy ratios were identified in the dragon's face, beard, horn, body, and fin. Further, for the dragon’s face with its delicate patterns, an alloy of silver and copper was used, likely to make the face appear as realistic as possible.

한국어

국가민속문화재 제4호로 지정된 외재 이단하 정경부인의 용잠은 대례복 일습을 구성하 는 머리 장신구로, 착용자의 신분과 유물의 시기가 명확하다는 점에서 유물로서 가치가 높다. 용잠은 대체로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지만 문양부분에 다양한 이물질 및 부식물이 고착되어 있어 보존처리를 수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비파괴 분석을 실시하여 용잠의 제작기법 과 소재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잠은 머리에 꽂았을 때 무게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내부 가 비어있으며, 금색과 적색, 흑색의 색상이 대비되도록 만들어졌다. 용잠은 머리 부분과 비녀의 몸체를 따로 제작하였으며, 몸체는 구리, 은, 아연의 합금으로 접합부분은 겹쳐지는 부분이 없이 정교하게 연결하였다. 머리 부분은 용의 얼굴이나 수염, 뿔, 몸, 갈퀴에서 합금 비율에 차이가 있으며, 섬세한 문양이 표현된 용의 얼굴 부분은 은과 구리의 합금으로 용의 얼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조선시대 용잠 고찰
2.1. 용잠의 착장
2.2. 외재 이단하 부인의 용잠 형태
3. 제작기법 조사
3.1. 내부 구조
3.2. 재질 분석
4. 보존처리
4.1. 처리 전 보존 상태
4.2. 이물질 제거
4.3. 안정화처리
4.4. 강화처리 및 마무리
5. 고찰 및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유동완 Dongwan Ryu. 하이문화재케어
  • 안보연 Boyeon An.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이량미 Ryangmi Lee. 서울공예박물관
  • 이재성 Jaesung Lee.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박영환 Yeonghwan Park.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유하림 Harim You.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