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故) 백남윤(白南允) 선생의《호남우도농악》 기록보 필사본을 중심으로 본 전북지역 호남우도채상소고놀음의 전승 양상과 특징

원문정보

A Study on Chaesang-sogonorum in Records of Honam Woodo Nong-ak Focused on the Lineage of Baek, Nam-yoon

허정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e of the lineage of Chaesang-sogonorum in Honam Woodo nong-ak comes from the dead Baek, Nam-yoon, who was a master of Woodo-Chaesang-sogonorum. The lineage was made up by the influence of the key leading gong-players such as Kim, Do-sam, Kim, Ba-woo, and Kim, Kwang-rye. It was built in the process of the creative union of the culture between Chaesang-sogonorum in Honam Jwado Nong-ak and Sangmo-norem in Honam Woodo Nong-ak. The characteristics of shape of Sogo in Chaesang-sogonorum in Honam Woodo Nong-ak is shown in the angle between Jinja and Jeokja, the length of Moolchae and Saengpijee which are attached to the back of Jinja. The characteristics of shape in Chaesang-sogonorum in Honam Woodo Nong-ak is shown in the fact that Chaesang/Sangmo was placed in more front area than that in Jwado, in a curve which appeared in the performance of the long Saengpijee, in a variety of shape of playing and Chumsawee/dancing shape which come from the large angle between Jeokja and Jinja, and in the aesthetics of the eloquently feminine curve beauty which is made by the forth-mentioning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The lineage of Chaesang-sogonorum in Honam Woodo Nong-ak is transmitted today in concrete ways by Huh, Young-wook in Jeon-ju Nong-ak.

한국어

호남우도 채상소고놀음의 주요 계보 중의 하나는 우도 채상소고놀음의 명인 고 백남윤 옹에 의해 전승되어온 계통이다. 이 계보의 형성에는 우도농악의 주요 상쇠 김도삼・김바우・김광래 등의 영향 아래에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 전통은 호남좌 도농악 지역의 채상소고놀음 문화와 호남우도농악 지역의 상모놀음 전통이 창조적 으로 상호 융합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 우도농악 채상소고놀음의 소고 모양새 면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진자와 적자 사이의 각도, 진자 뒤에 붙어 있는 물 채의 길이, 물채 뒤에 다는 생피지의 길이 등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 우도농악 채상소고놀음의 놀음새 면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는 채상/상모를 좌도보다 더 앞쪽으로 오게 쓰는 점, 긴 생피지를 통해서 구사되는 다양한 ‘곡선’, 적자와 진자 사이의 큰 각도에서 나오는 다양한 놀음새 모양과 춤사위, 흥청거리는 가락, 그리고 이런 조건과 특징들이 만들어내는 ‘우아한 여성적 곡선미’의 미학 등이 파 악된다. 이 채상소고놀음의 계보는 현재 전주농악의 허영욱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호남우도농악의 채상소고놀음 도입
3. 백남윤 계보 채상소고놀음의 전승 양상
4.《호남우도농악》기록보에 보이는 채상소고 기록 내용
5. 백남윤 채상소고놀음의 특징
6.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허정주 Heo, Jeong Joo. 전북대학교 농악/풍물굿연구소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