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오윤의 예술 모티브-춤

원문정보

Oh Yoon's Art Motivation-Dance

배종민, 홍윤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h Yoon (1946~1986) was a pioneer of the Korean popular art movement. He was an artist who pioneered the engraving movement and achieved the best artistic achievements. This study focused on dance among Oh Yoon's artistic motifs. For Oh Yoon, dancing was both a life and an art language. He put all his energy into his work to embody the contradictions of the times of division, war, dictatorship and democratic struggle with the motif of traditional dance. I thought that ordinary daily life is twisted and cannot be justified by any logic. Oh Yoon's interest in traditional dance stems from the background of the household and the atmosphere of the national art movement. His mother's family was the winner of the Dongnaehak dance. In the history of the National People's Movement, Talchum was the epitome of national art and served as a cultural vanguard that compressed the contradiction of the reality of the time. The same was true of Oh Yoon's views on traditional dance until the 1970s. However, around the 1980s, Oh Yoon's focus on dance shifted from "traditional dance with a mask on" to "dancing as a living reality combined with sorcery". This change in On Yoon art was largely due to the community culture and shamanism experienced in Jindo. Later, in Oh Yoon's work, the dance motif went beyond the traditional tradition or the tools of the transformation movement and resulted in the imagination of life (vitality).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vitality of the people and summon them.

한국어

오윤(吳潤, 1946~1986)은 한국 민중미술운동의 선구자였다. 판화 운동을 개척하 고, 최고의 예술적 성취를 이룬 예술가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윤의 예술 모티브 중 에서 ‘춤’에 집중했다. 오윤에게 춤은 생활이자 동시에 예술 언어였다. 그는 분단과 전쟁, 독재정권과 민주화투쟁의 시대 모순을 전통춤을 모티브로 작품에 형상화하고 자 온힘을 쏟았다. 평범한 일상이 비틀리고, 자칫 제 명대로 살 수 없는 현실이란, 어 떠한 논리로도 정당화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오윤의 전통춤에 대한 관심은 가계의 배경과 민족예술운동의 분위기에서 비롯하 였다. 그의 외가는 동래학춤의 전승자였다. 민족민중운동사에서 탈춤은 민족예술 의 전형이자, 당대 현실 모순을 압축한 문화 선봉대 구실을 수행하였다. 1970년대까 지 오윤의 전통춤에 관한 견해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1980년대를 전후해서 오윤 의 춤에 관한 초점은 ‘탈을 쓰고 추는 전통춤’에서 ‘주술과 결합한, 생동하는 현실로 서의 춤’으로 옮겨갔다. 이러한 오윤 예술의 변화는 진도에서 경험한 공동체 문화와 무속의 영향이 컸다. 이후 오윤의 작품에서 춤 모티브는 전통의 전승 혹은 변혁운동 의 도구를 넘어서 생명(력)의 상상력으로 귀결되었다. 조형공간 위에 민중의 생명력 을 확대하고 소환하는 제의가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전통춤의 계승
Ⅲ. 생명의 춤사위
Ⅳ. 예술과 이념의 길항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종민 Bae Jongmin. 광주연구소광주연구소.
  • 홍윤리 Hong Yunlee. 광주시립미술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