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65年日韓国交正常化と日韓関係における相互認識

원문정보

55 Years of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and the Current State of Mutual Recognition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桂島宣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that Nippon Steel Corporation (Nippon Steel) compensates victims of forced labo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October, 2018. This ruling led the Japanese government to impose semiconductor export restrictions to South Korea, whereas the Korean government correspondingly refused to renew the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GSOMIA), exacerbating the bilateral relations. These developments are derived from Japan’s insufficient expression of their regret over the colonial rule, unfulfillment of their obligations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Asia–Pacific War and to compensate war victims in the postwar era, and ignorance of the relevant facts among the Japanese. In addition, the Japanese government’s constant claim that ‘the compensation settlement issue has been completely resolved with the Treaty on Basic Relations and the Settlement Agreement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which has been used as the golden rule, reveals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as well as its people have yet to fully acknowledge their historical crimes committed during their colonial rule in the process of concluding the agreements, and no matter how strongly they claim, it is clear that the compensation issue for victims of forced labor has not been ‘completely resolved.’ To tackle the currently strained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away from ‘grassroots(草の根),’ a ‘mutually trusting relationship built on universal values’ is crucial. Against this backdrop, it is believed that the bilateral relations in the Tokugawa era and the Chosun dynasty era are exceptionally better than the ones based on ethnocentrism of modern era. Certainly,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universal values of the bilatera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premodern era were feudal ‘courtesy and literature (禮・文)’ based on orthodox Neo-Confucianism (朱子學, = Neo-Confucianism).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rather than focusing on the details of the values, but on the fact that they shared common values, building mutual trust. For instance, Fujiwara Seika (藤原惺窩), considered as the originator of Neo-Confucianism in Japan in the Tokugawa era, adopted orthodox NeoConfucianism via Ganghang, a Korean Confucianist. They went beyond their nationality differences, shared a universal idea ‘spirit of courtesy and literature,’ and maintained their mutual trust even when there was discord or misunderstanding thanks to their strong belief on such universality. They shared ‘reverence for heaven (天),’ and such ‘fear of heaven’ is most needed for the Korea-Japan relations of modern era.

한국어

2018년 10월 한국 대법원이 일본제철(신일철주금)에게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피 해자에게 배상하라고 명령하는 판결이 나왔다. 이 판결을 계기로 일본정부가 한국을 대상으로 한 반도체 수출 규제를 강행하고, 반면 한국정부는 GSOMIA(한일 군사정 보보호협정) 갱신을 거부 등 한일 정부 간 관계가 일거에 악화됐다. 이러한 사태의 배경에는 일본 정부가 식민지지배에 대한 반성을 충분히 하지 않아 여전히 아시아・ 태평양전쟁에 대한 전쟁 책임 및 전후 져야 하는 배상 책임을 지지 않은 것과 이에 대한 일본 국민 전체의 무자각이 존재한다. 또한 일본 정부가 금과옥조처럼 말하는 ‘청구권 문제는 한일기본조약 및 청구권협정으로 완전히 해결했다’라는 주장도 조약 체결과정 자체에 식민지지배라는 역사적 범죄에 대해 일본 정부와 일본 국민들이 정면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으며, 어떻게 강변해도 강제징 용 피해자 배상 문제는 ‘완전히 해결했다’고 할 수 없는 것은 명백하다. 이러한 현 재 한일관계를 ‘풀뿌리(草の根)’로부터 타개하기 위해서는 ‘보편적 가치에 근거하는 상호신뢰관계’가 중요하다. 이러한 차원으로는 오히려 도쿠가와시대・조선시대 한일 관계가 근대 자국중심주의보다 훨씬 뛰어난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물론 전근대 한일 관계가 의거하였었던 보편적 가치란 주자학(朱子學, =성리학)에 기초한 ‘예・문(禮・ 文)’이고 봉건적 가치관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가치 내용보다도 서로 공유 된 가치관이 엄연히 존재하고 이 때문에 상호 신뢰감이 조성되었음이 주목된다. 예 를 들어 도쿠가와시대 일본의 주자학 시조로 불리는 후지와라 세이카(藤原惺窩)는 조선 유학자인 강항을 만나면서 주자학에 개안하였는데 이들 사이에는 왕조를 넘은 ‘예・문의 정신’이라는 보편적인 인식이 공유되어 있으며, 비록 서로 알력이나 오해 가 있었다 하더라도 이러한 보편성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야말로 상호신뢰를 지탱했 었다. 이들 간에는 ‘천(天)에 대한 경외’가 공유되어 있었으며, 이 ‘천을 두려워함’ 이야말로 현대 한일관계에서 가장 요구되는 것이다.

목차

<요 지>
1.はじめに
2.日韓基本条約とその問題性
3.普遍的価値に基づく相互信頼
4.おわりに
参考資料(Reference)

【参考】

저자정보

  • 桂島宣弘 Nobuhiro Katsurajima. 立命館大学名誉教授、徳川日本思想史・東アジア思想史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