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의 치매교육에 따른 치매태도가 치매정책인식에 미치는 영향 – 치매지식 매개효과 중심으로 -

원문정보

Effect of Dementia Attitudes according to Dementia Education in University Students on the Recognition of Dementia Policy - Mediating effect of dementia knowledge -

최희정, 김지숙, 김정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dementia attitudes according to dementia education in university students on the recognition of dementia poli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mentia knowledge. The participants were 306, 1∽2 grad of students of U and K university in 2 G c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31, 2017, and analyzed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with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ducation group compared to the non-education group in recognition of dementia policy, dementia knowledge, and dementia attitude according to the subject's dementia education. The level of dementia attitudes, recognition of dementia policy,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s were more than moderate. Th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recognition of dementia policy,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s were significant. Dementia knowledge was a predictor of recognition of dementia policy (t=2.35, p=019) and showe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7.8%.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ystematically provid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ementia education programs for the whole people to raise correct dementia knowledge, positive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awareness of dementia polici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치매교육에 따른 치매태도가 치매정책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치매지식 매개효과 중심 으로 파악하였다. 대상자는 2개의 G 시에 소재한 U와 K 대학교 1∼2학년 대학생, 30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 년 9월 4일부터 9월 29일까지였고, SPSS /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Pearson 상관계수 및 다중단계 회귀분석을 하였다. 대상자의 치매교육 여부에 따른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과 치매태도에서 모두 교육집단이 비교육집단에 비해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과 치매태도 정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과 치매태도 모두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치매지식은 치매정책인식의 예측요인(t=2.35, p=019)이면서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 고, 설명력은 17.8 %였다. 따라서 올바른 치매지식과 긍정적인 치매태도 및 치매정책인식을 높이기 위한 전 국민 대상 치매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5.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변수 특성
2. 치매정책인식, 치매태도, 치매지식 정도
3. 대상자의 치매교육에 따른 변수의 차이
4. 변수간의 상관관계
5. 치매태도와 치매정책인식 간 치매지식 매개효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최희정 HeeJung Choi. 정회원, 위덕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김지숙 JiSuk Kim. 정회원, 위덕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김정은 JungEun Kim. 정회원,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