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선비화가 尹德熙·尹愹 父子의 變維的繪畵審美고찰

원문정보

The Newly changed Painting's Aesthetic of Seonbi painter Yoon DeokHee and Yun Yong Father and Son

선비화가 윤덕희·윤용 부자의 변유적회화심미고찰

김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hree generations of Haenam Yoon, who have been handed down to Gongjae Yoon DuSeo (1668~1715), Yoon DeokHee (1685~1776) and Yoon Yong (1708~1740), were based in Haenam. They had an artistic soul on the stage of Hanyang and succeeded in the art of the family, building a reputation as a family of Seonbi painters representing the late Joseon Dynasty. Born as the eldest son of Gongjae and lived at the age of 82, Rakseo learned a variety of studies, calligraphy and painting from his father and Lee Seo. While learning the paintings of the early and mid Joseon period, and accepting the Namjong painting method, he pursued the realism and three-dimensional sense of the subject by adding a Western-style shading method. In particular, he showed outstanding talent in horse paintings and pottery figures, expressing his original 'Beauty that realistically portrays real scenery'. Cheonggo, who was born as the second son of Rakseo and died at the age of 32, was good at Namjong landscape painting using various tree drawing methods. He painted the original Siuido by changing the topical poems, as well as detailed observations and explorations to accurately describe the facts of the object. In addition, 'Beauty showing affection through realistic scenery' was expressed by newly changing and reinterpreting the tendency of home appliances painting to express the spirit as a form beyond the realistic landscape. Rakseo and Cheonggo father and son made a ‘NogUdang’ painting style, drastically changing th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한국어

恭齋尹斗緖(1668~1715)와 駱西尹德熙(1685~1776), 그리고 靑皐尹愹(1708~1740)으로 전해져 온 해남윤씨 3대 의 화맥과 학문사상은 해남에 본거지를 두었지만, 주로 한양을 무대로 예술혼을 펼쳤고 가법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선비출신 서화 가문으로 명망을 쌓았다. 恭齋의 장남으로 태어나 82세를 살았던 駱西는 친부 및 南人계열 李漵에게서 다양한 학문과 서화를 익혔다. 조선 초·중기 화풍을 섭렵하고 남종화법을 수용하면서 서양식 음영법을 가 미하여 대상의 사실성과 입체감을 추구했는데 米法山水, 元末四大家, 明代吳派, 董其昌, 淸代安徽派등 다양한 화 법을 융복합하여 변유적 회화심미를 이루었다. 그는 특히 말 그림과 도석인물화에서 탁월한 재능을 드러냈는데, 博學 實得的가풍에 比德的으로 구현한 독창적 眞景美를 발현하였다. 駱西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32세로 요절한 靑皐는 다 양한 樹枝法을 구사한 남종산수화에 능했는데, 물상의 정확한 사실묘사를 위해 세밀한 관찰과 깊은 탐구심, 그리고 화보 화제시의 새로운 詩情을 펼치면서 독창적 구성의 詩意圖를 그렸다. 또한, 가전된 화풍을 변유적으로 재해석하여 眞景을 넘어 以形寫神의 眞情美를 발현하였다. 恭齋를 계승한 駱西와 靑皐부자의 서민풍속화는 조선 후기 새로운 장 로로 자리잡게 되는 등 이들 부자의 변유적 회화심미와 화법은 녹우당 화풍을 이루어 조선 회화풍을 획기적으로 변 화시켜 한국회화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尹德熙·尹愹 父子의 생애와 繪畵觀
Ⅲ. 駱西尹德熙회화심미 : 陰影法을 접목한 眞景美
Ⅳ. 靑皐尹愹의 회화심미 : 以形寫神을 통한 眞情美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도영 Kim Doyoung. 학술이사, 예원예술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문화재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