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n Analysis of pei : ‘give’ in Myanmar

원문정보

An Analysis of pei: ‘give’ in Myanmar

Lim Youksown (Moe Kyaw), Park Soonhyuc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ord ‘GIVE’ is highly productive in many languages. Lord et al. (2002) categorize the functions of the word ‘GIVE’ as a main verbal lexeme (ditransitive verb), a benefactive marker, a perspective/stance marker, a permissive and causative marker, a purposive/consequence marker, and a reason marker in Akan, Thai, Malay, and Yoruba languages. Song (1997) groups the functions of the word ‘GIVE’ as a main verbal lexeme, a benefactive marker, a purposive marker, and an adverb-formation marker in Thai, Khmer, and Vietnamese languages. Lee (1993) reports further that the word ‘GIVE’ can be used as a main verbal lexeme, a benefactive marker, and a permission marker. Although analysis of the word ‘GIVE’ has been widely done in many languages, pei: ‘give’ in Myanmar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and has been recently analyzed mainly in the causative construction. This paper thus analyzed the properties of pei: in Myanmar to see what aspects of pei: are used, how many functions it serves, and what patterns of pei: are used in the sentences. This paper categorized the functions of pei: into three types: a ditransitive pei:, a causative pei:, and an aspectual pei:. All three functions of pei: have been generaliz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as well as syntactic aspects. Myanmar has thus been generaliz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universals and diversity in the study of languages. A further possible study will be on the issue of the left-right directionality of the incorporation of the lower verb onto pei:, which will surely reveal the morphological as well as the syntactic properties of pei: in Myanmar.

한국어

‘GIVE’에 해당하는 어휘는 일반적으로 행위자, 대상, 수혜자의 논항 3개를 필요로 하 는 다중 타동사로 사용된다. 그러나 남아시아어들을 중심으로 여러 언어들에서 ‘GIVE’ 에 해당하는 어휘가 이러한 일반 용법 이외에 다양한 방식과 기능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ord et al.(2002)는 아칸어, 태국어, 말레이어, 요루바어 등에서 'GIVE'를 기 존 다중 타동사의 기능 이외에 수혜자(benefactive) 표시자, 관점(perspective/stance) 표시 자, 허락/사역(permissive/causative) 표시자, 목적/결과(purposive/consequence) 표시자, 그리고 사유(reason) 표시자로 분류하고 있다. Song(1997)은 태국어, 캄보디아어, 베트남 어에서 기존의 다중 타동사의 어휘소와 더불어 수혜자 표시자, 목적 표시자, 그리고 부사 -구성(adverb-formation) 표시자로서 'GIVE'의 기능을 구분하고 있다. 다수의 언어에서 ‘GIVE’에 해당하는 어휘들의 다양한 기능들이 보고되고 분류되어 왔 음에 반해 미얀마어의 pei: ‘give’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고, 비교적 최근에 와서야 Okell and Allot(2001)과 Okano(2005)에서 pei:를 허락/사역 표시자 기능 정도로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얀마어의 pei:에 대하여 허락과 사역 표시자 이외의 기능을 밝히고 이 를 근거로 pei:에 대한 일반화를 시도한다. 실제로 미얀마어의 pei:는 다중 타동사와 허락/ 사역의 기능뿐만 아니라 수혜자 및 의도(intention) 표시자로의 기능이 있음을 제안하고, 이 를 통합하여 크게 세 가지 유형의 pei:, 즉 다중 타동사 pei:, 사역의 pei: 그리고 상(aspectual) 의 pei:로 정리한다. 특히 사역의 pei:에는 이중 절 구조가 이용되며, Hasegawa(2002) 등의 제안을 토대로 상위절 v에 [causative] 자질이 설정된다. 상의 pei: 활용을 위해서 본 연구는 상구(Aspectual Phrase)를 제시하며 그 머리어에는 [beneficiary] 혹은 [intention]의 자질을 설정한다. 그 동안 연구가 미진했던 미얀마어의 pei:에 대한 기능들을 일관성 있게 분류하 고 세 가지 유형으로 일반화를 하였다는 점에서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분석에 는 형태론적 그리고 통사론적 근거들이 활용되었으며, 향후 이 세 가지 유형으로의 변화에 대한 통시적 근거와 더불어 사역과 상의 pei:에서 하위 동사들과의 융합(incorporation)의 과정에 달라지는 어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국문요약>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Three Types of pei:‘give’
Ⅳ. Conclusion


저자정보

  • Lim Youksown (Moe Kyaw) graduate student of Department of English Lang/Lit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Park Soonhyuck professor of Department of English Lang/Lit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