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자에 반영된 중국 고대 장례(葬禮) 풍습

원문정보

Ancient Chinese Funeral Practices Reflected in Chinese Characters

곽현숙, 김정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unerals exist not only in the country or ethnicity, but also in different religious and endemic environments. In particular, the funerals of minorities in China are very complicated and diverse, mostly related to the traditional customs and religious beliefs of each nation. How were these various funeral customs recorded and expressed? In this study, we looked at how Chinese funeral customs were recorded and expressed through the analysis of Chinese characters in 死(sǐ), 歺(cān), 尸(shī), and 文(wén). First of all, through the 死(sǐ), we could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death and burial customs of ordinary and non-death people in China. In addition, the funeral laws of the time were reflected through the incidental figures, such as 歺 (cān), 尸(shī), and 文(wén). For example, the Chinese character 歺(cān) reflects an old funeral method that was used to discard the body in the forest when a person died, and when it was rotten and left with bones, 尸(shī) is a Chinese character modeled after the second funeral of the dead. 文(wén) refers to the reincarnation of the soul by tattooing the body's chest with a knife and allowing blood to flow as a form of an ancient funeral. In addition, Chinese characters such as (cān), 㕡(cān), 屈(qū), 屍(shī), and 吝(lìn), which are composed of subsidiary characters such as 歺(cān), 尸(shī), and 文(wén), could also be seen in recognition of the death of ancient Chinese people, burial customs, and the process. The burial custom of ancient Chinese people changed from clubbing to beating and killing the elderly to throwing them alive and becoming food for birds and animals, and then using coffins to bury them after death. Although burial customs have changed, it was still found that the custom of damaging the body and the system of burying white bones have not changed.

한국어

언어와 문자의 관계로 볼 때 한자는 한어를 기록하는 부호체계이다. 한자의 기본 기능 은 한어를 문어로 기록하여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한족으로 하여금 사상을 교류하고 정보를 전달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한자는 상당히 풍부한 문 화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한자는 표의성이 강한 문자이므로 매 한자마다 독특한 구 조와 문화적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장례(葬禮)와 관련된 한자를 통해 선인 들이 장례에 대해 어떠한 인식과 의식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례는 나라나 민족뿐만 아니라 종교나 풍토 환경 등에 따라서도 각각의 다른 장례 풍 습이 존재한다. 특히 중국 내 소수민족의 장례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데 대부분 각 민족 의 전통적인 풍속 및 종교 신앙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장례 풍습은 어떻게 기록되 고 표현이 되었을까? 본고에서는 ‘알(歺)’, ‘시(尸)’, ‘문(文)’ 등의 한자 자형과 본의(本 義)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의 장례 풍습이 어떻게 기록되고 표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사(死)자를 통해 중국 고대 사람들이 죽음에 대한 인식과 일반적인 죽음과 그렇 지 않은 죽음에 대한 매장 풍습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부수자인 ‘알(歺)’, ‘시 (尸)’, ‘문(文)’ 등을 통해 당시의 장례법도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알 (歺)자는 사람이 죽으면 시신을 숲에 버리고 썩어 문드러져 뼈만 남으면 수습해 처리했 던 옛 장례법을 반영한 것이고, 시(尸)자는 죽은 사람의 이차장 형식을 본뜬 한자이다. 문(文)자에는 고대 장례의 한 형태로 시체의 가슴에 칼로 문신을 새기고 피가 흐르도록 함 으로써 영혼을 풀어 환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알(歺)’, ‘시(尸)’, ‘문(文)’ 등 의 부수자로 구성된 ‘찬()’, ‘학(㕡)’, ‘굴(屈)’, ‘시(屍)’, ‘인(吝)’ 등의 한자에서도 중국 고대 사람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매장 풍습, 그리고 매장 풍습에 대한 변천 과정 등을 살 펴 볼 수 있었다. 중국 고대 사람들의 매장 풍습이 처음에는 몽둥이로 노인들을 때려서 죽이는 것에서 이후 노인에 대한 측은한 마음이 들어 산 채로 산야로 버려 새와 짐승의 먹이가 되게 하는 풍습으로 변해갔고 다시 변천하여 사후에 인적이 닿지 않는 곳에 시신을 보내게 되면서 그 후에는 관을 이용하여 시신을 매장하는 풍습으로 변해갔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렇 듯 매장 풍습에 변화가 있었지만 여전히 시신을 훼손하는 풍습과 백골을 다시 매장하는 제도는 바뀌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기
Ⅱ. 사(死)의 기본적 의미와 죽음에 대한 인식
Ⅲ. 부수자에 반영된 중국 고대 장례 풍습
Ⅳ. 중국 고대 장례 풍습이 반영된 한자
Ⅴ. 나오기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곽현숙 Kwak Hyunsuk.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HK연구교수
  • 김정훈 Kim Jeonghoon. 부산외국어대학교 아시아대학 중국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