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20세기 초 일본사회의 변화에 투영된 여성상의 변화에 대한 고찰 - 다이쇼기(期)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Female Image Projected in the Changes of Japanese Society in the Early 20th Century - Focusing on Taisho period-

제금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orld has developed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means and is connected by a single network. Expressions such as globalization, globalization, and global village will represent this. For this reason, the recent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s is felt.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meaning of settling migration has become stronger in the spatial concept of moving for a while.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has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The number of migrants who take root in Korean soil due to international marriage is increasing every year. Among them, the migrant woman who married and settled in Korea cannot be overlooked. It can be said that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began to emerge in earnest in the modern meaning of women's human rights, free love, and new women in Korea. During this period, it was a period of rapid modernization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Japanese Empire in all aspects of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In other words,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moderniz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by Japanese external pressure. This paper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image of a woman embodied in the novels of the 1920s, which aroused great repercussions on Japanese women at the time, influenced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im Dong-in, Lee Kwang-soo. This is because writers of that era, such as Yeom Sang-seop, and Na Hye-seok, an intellectual who is represented as a new woman, came back to study in Japan and exerted a lot of influence. The influence of the female image depicted in Tanizaki Junichiro's 『A Fool’s of Love』, who had so much influence on women of the time that it was published in newspapers, has on the women living in the present i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sex. As a result, international marriages are also increasing year by year, and it can be said that this is supported by the increasing number of women who are going to marry in other countries. Until now, in the representative novels of Japan in the 1920s, I have considered the image of women formed through fashion, leisure life, and a girl's hall that were envy at that tim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00 years ago in the history of Korea, if the image of women was emphasized by external pressure, the task of Korean women now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is the duty to be a model and lead to marriage immigrant women.

한국어

세계는 바야흐로 통신과 교통수단이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 세계화, 글로벌화, 지구촌 등의 표현이 이를 대변할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 인지 최근에는 국 제결혼의 증가를 실감케 한다. 그만큼 잠시 이동하는 공간적 개념에서 정착하는 이 주의 의미가 강해졌다 볼 수 있겠다. 다문화 사회에 접어든 21세기 한국사회. 국제결 혼으로 인해 한국 땅에 뿌리를 내리는 이주민은 매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 중 한국 에 결혼해 정착한 이주여성을 간과할 수 없겠다. 여성의 인권, 자유연애, 신여성이라는 근대적 의미의 단어들이 본격적으로 대두 되기 시작한 시기가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기 시대였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급격 히 근대화 과정을 겪었고 정치, 사회,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일본제국의 지배를 받던 시기이다. 즉 일본의 외압에 의한 근대화과정을 거치게 되었다하더라도 과언이 아 닐 것이다. 본고는 당시 일본 여성들에게 크게 반향을 불러 일으켰던 1920년대 소설에서 형 상화된 여성의 이미지가 일제강점기의 조선에도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김동인, 이광수. 염상섭 등 그 시대 문인들 그리고 신여성이라 대표되는 지식 인 나혜석 등이 일본에 유학하여 돌아와 많은 영향력을 끼쳤기 때문이다. 신문에 연재될 정도로 그 시대의 여성에게 영향력을 끼친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치인의 사랑』에 그려진 여성이미지가 현재를 살아가는 여성에게 끼친 영향은 성(性) 의 자기결정권인 것이다. 이로 인해 국제결혼도 해마다 늘어가고 타국에서 새로운 결혼생활을 영위해가는 여성이 증가한다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한다고 볼 수 있겠다. 지금까지 1920년대 일본의 대표소설 속에 그 당시 선망하던 패션, 여가생활, 연애 관을 통해 형상화된 여성이미지를 고찰해보았다. 100년 전엔 외압에 의해 우리의 여성이미지를 부각시켰다면 다문화 시대를 맞은 지금의 한국 여성들은 결혼이주민 여성에게 스스로 귀감이 되고 선두가 되어야 할 의무가 과제로 남고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다이쇼기(期) 일본의 시대적 배경
Ⅲ. 소설 『치인의 사랑』에 그려진 여성이미지
Ⅳ. 신여성의 이미지에 대한 방향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제금숙 Je, Keum-Sook. 동국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