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한국 근현대 역사 속 전쟁 참전국과 보훈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光復運動者禮遇와 순국선열 紀念

원문정보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s Honor of independence fighters and memorial of patriotic martyrs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광복운동자예우와 순국선열 기념

황선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established the 'Jeongye bureau' as a department to investigate and honor the sacrifices and achievements of the independence fighters. The bureau sought to gather and record independence movement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groups under the Home Office and coalition control organisations. These efforts were reflected in the history of Korea-Japan relations, which was compiled by the "temporary historical compilation of historical record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3.1 Movement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used Dangun as the founder of history and the biography of the Revolutionary War as the March 1st Movement show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hich established March 1st and National Foundation Day as national holidays. Afterwards, March 1 and National Foundation Day were recognized as symbolic anniversaries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other independence activists, serving as important mechanisms for sharing and verifying national identity. After the 1920s, the consciousnes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s War of Independence deepen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nsidered the situation of the anti-Japanese front to make the War of Independence more conceptual.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ficials defined August 29 as the National Da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made it a day to share anti-Japanese awareness. In addition, a national humiliation to see the development instrument as a so-called Japan-Korea Treaty of 1905 and Korea's national sovereignty that, inside, net through a treaty are dominated by it became clear that a go. This perception can be seen through the declaration of the anniversary of the martyrdom.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planning to investigate the achievements of the liberation movemen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nd honor the martyrs, meritorious men, and those who provided funds. However, in the reality of the emancipation regime, such a scheme was difficult to materialise. In the midst of this,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ficials attempted to carry out their own activities, such as holding a memorial service to restore the remains of the symbolic patriotic martyrs.

한국어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광복운동자들의 희생과 공적을 조사하고 예우하는 부서로 전계국을 설치하였다. 전계국은 내무부 산하 단체와 연통제 조직과 연계하여 독립 운동 정보를 수집하고 기록으로 남기고자 했다. 이러한 노력은 ‘임시사료편찬회’가 편찬한 한일관계사료집에 반영되어 한일관계의 역사와 그간의 독립운동사, 3.1운동 과 임시정부의 수립을 일차적으로 정립하는 바탕이 되었다. 1920년 독립전쟁 선포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단군을 역사의 시조로 삼고, 독립 전쟁의 전기를 3․1운동으로 삼은 것은 3․1절과 건국기원절을 국경일로 제정한 임시 정부의 역사의식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후 3․1절과 건국기원절은 임시정부를 비롯하 여 독립운동가들에게 상징적 기념일로서 받아들여져 민족 정체성을 공유하고 확인 하는 중요한 기제로 역할하였다. 1920년대 이후 임시정부의 독립전쟁 의식은 보다 심화되었다. 임시정부는 항일전 선의 정세를 감안하여 독립전쟁을 보다 심도있게 개념화해갔다. 임시정부 인사들은 경술국치인 8월 29일은 ‘국치기념일’로 규정하고 이를 항일의식을 공유하는 날로 삼 아갔다. 아울러 국치에 이른 전개과정을 보다 계기적으로 인식하여 소위 을사늑약 과 정미조약 등을 통해 한국의 국권이 순차적으로 장악되어 갔음을 분명히 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순국선열기념일’ 선포문을 통해 알 수 있다. 임시정부는 광복 후 그간의 광복운동의 공적을 조사하여 순국자와 공로자, 그리 고 자금을 지원한 자에게 예우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그러나 해방정국의 현실에 서 그러한 계획은 실현되기 어려웠다. 그런 속에서 임시정부 인사들은 상징적인 순 국선열의 유해를 봉환하여 추도식을 개최하는 등 나름의 선양활동을 전개하고자 하 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임시정부의 광복운동 조사와 사료 편찬
Ⅲ. 독립전쟁 선포와 순국선열 기념일 제정
Ⅳ. 광복 후 순국선열기념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황선익 Hwang, Sun-ik. 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