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지역사회 통합돌봄은 장애 혹은 고령화로 인하여 일상적인 보건의료서비스와 기초적인 생활 지원, 주거 지원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이 요구되는 대상자에게 시설에서 벗어나 원래 살던 곳에서 시 설과 같은 통합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이다. 따라서 사업내용의 주를 이루게 되는 의료, 복 지, 주거 부분만이 아니라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광범위한 부분이 사업내용에 제한 없이 포함된다. 또한 지원 대상자가 원래 거주하던 익숙한 환경에서 일상생활 전반에 대한 다분야의 연속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이웃을 포함한 지역사회 조직을 형성해 가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지역 사회에서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다채로운 조직 간의 연결망 형성이 특히 중요시되는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는 정부의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을 실시중에 있는 부산진구를 대상으로 하여 통합돌봄을 수행하는 지역의 실제 사업 현장에서 다른 분야에 속하는 조직 간의 네트워크 형성과 같은 조직내부의 네트워크 형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선 도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부산진구를 대상으로 해당사업에 관여하는 다양한 층위의 폭넓은 분야의 조직 에 대한 사회연결망 조사와 분석을 실행하였다. 구체적인 네트워크의 특징과 형성 체계를 파악하기 위 하여 다음 세 가지에 주목하였다. 첫째, 해당 사업을 담당하는 주요 행정기관인 행정구청과 보건소 내부 의 팀 간 협업관계에 대한 접근을 실시하였다. 둘째, 행정조직, 복지관, 민간조직을 연결하는 다양한 층 위간의 연결체계를 파악하였다. 셋째, 사회연결망 내부에서 지역사회주민 조직이 가지는 네트워크 강도 와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중간지원조직 역할 수행기관을 파악하고 중간지원조직 역량 강화가 요구되는 지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지점인 지역사회 주민의 역량강화 를 위한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2-1. 소셜 네트워크 분석
2-2.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분석
2-3. 부산진구 지역사회 네트워크 조사
3. 분석결과
3-1. 부산진구 전체 네트워크
3-2. 부산진구청 부서 간 네트워크
3-3. 부산진구 보건소 부서 간 네트워크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