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 원어민 교사의 상호문화 간 소통 역량 - 학문 목적 학습자의 관점에서 -

원문정보

Korean Learners’ Perceptions of Native Korean Teach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이미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non-native Korean learners’ perceptions of native Korean teach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a South Korea university language centre. The qualitative data was obtain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2 students. It was analysed according to three categories: (ⅰ) teaching skills, (ⅱ) pragmatic skills, (ⅲ) intercultural knowledge and awareness(attitudes). The findings show: (ⅰ) Regarding teaching skills, Korean teachers had lack of understandings about learner’s learning difficulties and knowledge about comparative linguistics that’s why proper instruction and assesment were not completely done for learners. (ⅱ) Concerning pragmatic skills, participants indicated a lack of the question and answer interactive continuity between students and a teacher and teachers’ inappropriate speech. (ⅲ) Mentioning intercultural knowledge and awareness(attitudes), generally the teachers who had been exposed to multicultural situations and had a variety of teaching experiences showed higher understanding toward student’s cultural and linguistic diversities of which teachers in turn showed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However, teachers did not offer enough time to discuss about cultural issues due to current curriculum mostly focused on learning knowledge. Hence they could not satisfy the students’ demand for understanding about interculturalism. In addition to this, teachers and the institute’s policy failed to accommodate religious diversities of the students. As a result, these findings showed that main problems were caused by the lack of spontaneity of the authority’s system and policy as well as the teacher’s unfitting action to this.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수중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경험과 관점을 통해 한 국어 원어민 교사들의 상호문화 간 소통 역량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12명의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반 구조 인터뷰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교수 역량과 의사소통 기술 그리고 상호문화에 대한 지식과 인식(태도)으로 항목화하여 분석하였 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수 역량의 경우 교사들은 한국과 다른 교수학습 환경에서 온 학습자들에 대한 이해와 비교언어학적 지식이 부족하였으며, 그로 인해 효율적인 지도와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기술의 경우 부족한 질의응답 기회와 교사의 부적절한 말 속도가 문제로 지적되었다. 셋째, 상호문 화에 대한 지식과 인식의 경우 다문화적 경험과 교수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상호문화 에 대한 이해가 높고 실천 역량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화이해를 위한 대화 시간의 부족과 종교적 특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고 지적되었다. 한국어 교사의 상 호문화 간 소통 역량은 교수학습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특히 다문화 배경의 학습 자들을 이해하고 그들과의 원활한 관계형성을 위해서는 반드시 갖춰야할 중요한 요소 이다. 따라서 상호문화 간 소통 역량의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교사양성과정의 교과과정 개선과 교사연수 등 정책적 지원 또한 함께 이뤄져야 할 것 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탐색
1. 이론적 배경-외국어 또는 제2 언어 교사의 상호문화 간 소통 역량
2. 선행 연구 탐색
Ⅲ. 연구 방법과 구성
Ⅳ. 연구 결과
1. 한국어 교사의 교수 역량
2. 의사소통 기술
3.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인식(태도)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미선 Misun Lee. 인천시교육청 동아시아국제교육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