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Korean Pedagogic Translation Using Cultureme : Based on the Task-based Translation Method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Korean pedagogic translation class method using ‘cultureme’. We applied cultureme to the task-based teaching method to develop pedagogic translation classes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In Chapter II, we discussed what role pedagogic translation plays in communication teaching method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cultureme education to enhance sociocultural competence. This study then examined the task-based translation method through Ali(2013). In Chapter III, the actual class was designed. We clearly showed the subject outline,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targets. This study divided the class into a pre-task phase, during-task phase, and post-task phase. The subject of the class is
한국어
본고는 문화소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번역 수업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 화소 이론을 과업중심 교수법에 적용하여, 고급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학습번역 수업을 개발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학습번역이 의사소통식 교수법 하에서는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어 사회문화능력을 높이기 위해 문화소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였고, 과업중심 번역 교수법을 Ali(2013)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Ⅲ장 에서는 실제 수업을 과업 전, 과업 수행, 과업 후 단계로 나누어 설계해 보였다. 수업 주 제는 <한국 소개 영상 기획-백제 세계문화유산 편>이고, 사전자료로 학습자의 배경지 식을 활성화시킨 뒤 평가표 및 번역할 텍스트를 제공하고 팀별로 번역할 수 있게 하였 다. 학생들은 자신들의 번역본을 바탕으로 영상 제작 기획서를 만들어 발표하고, 피드 백을 주고받게 된다. 이 연구는 6급 이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방안을 제안하고, 번역학 전공 외국인을 위한 기초 수업 설계의 이론적, 실제 적 바탕이 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습번역과 외국어교육
2. 사회문화능력 신장을 위한 문화소 교육
3. 과업중심 문화소 번역 교수법
Ⅲ. 수업의 설계
1. 교과목 개요 및 교수자의 역할
2. 교수 항목의 추출
3. 수업의 실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권인경(2013). 문화소 번역 방법 연구: 제주도 관광안내텍스트를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25, 37-59.
- 2김련희(2003). 외국어 교육에서의 번역의 역할 재고. 인문과학연구, 9, 33-53.
- 3김민영(2018). 유튜브 자막 번역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7), 307-328.
- 4김민영(2019). 한국어 수업을 위한 TV 자막 활용 방안 연구: 예능 자막의 중국어 오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9), 119-139.
- 5김민영(2020). 역번역을 활용한 한국어 텍스트 교육: 번역 전공 유학생을 대상으로. 외국어교육, 27(1), 191-209.
- 6김정은(2005).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활용 자료와 방안. 겨레어문학, 35, 27-62.
- 7김중섭 외(2018).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국립국어원.
- 8김지영(2020). 학습번역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최근 국내외 연구동향 고찰. 통역과 번역, 22(1), 25-52.
- 9김효중(2004). 새로운 번역을 위한 패러다임. 푸른사상.
- 10서영지(2018). Michael Byram의 ‘문화적 전환’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능력에서 상호문화의사소통능력으로. 프랑스 문화연구, 36(1), 149-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