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이 경험한 상호문화소통의 공간별 의미 탐색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Space in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Experience of Uzbekistan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갈라노바 딜노자, 김영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Uzbekistan students in Korea and to explore the spatial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First, what is the experienc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mong Uzbekistan students in Korea?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each space of international students achieved through these experiences?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selecting four Uzbekistan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content of the in-depth interview was analyzed through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cultural experiences of Uzbekistan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were divided into spaces such as home, school, and society, and examined.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learned about Korean culture and society by communicating with Korean people before coming to study in Korea and had a warm heart for people. These experiences have motivated them to study the Korean language harder.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th Korean people helped research participants to adapt to life, society, and culture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상호문화소통 경험을 분석하고, 이 러한 경험에서 나타난 공간별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한국의 대학에서 재학 중인 우즈베키스탄 유 학생들의 상호문화소통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이들 유학생들이 경험한 상호문화소통 의 공간별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해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4명을 연구참 여자로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심층인터뷰 내용을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상호문화소통 경험을 가정, 학교, 사회 등 공간별로 구분해서 제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한국으로 유학을 오기 전에 한국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한국의 문화와 사회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였고, 사람 들에 대한 따뜻한 마음을 가졌다. 이러한 경험은 그들이 한국어를 더 열심히 공부할 수 있는 동기가 되었다. 또한 한국 사람들과의 상호문화소통 경험은 연구참여자들의 유학 생활과 그들이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적응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다양한 학문 목적을 위해 우즈베키스탄 출신 유학생은 물론 중앙아시아 출신 유학생들의 상호문화소통을 연구하는데 시사점을 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한국 내 외국인 유학생
2. 상화문화소통의 개념
Ⅲ. 연구 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참여자 A: 소통으로 새로운 것을 배워가는 마음
2. 연구참여자 B: 소통에 근거한 학문적 성향
3. 연구참여자 C: 소통을 조심스러워하는 마음
4. 연구참여자 D: 웃음에 기초한 소통에서 온 즐거움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갈라노바 딜노자 Dilnoza Kalanova. 호남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 김영순 Youngsoon Kim. 인하대학교 다문화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