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증적 논문

소셜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인지된 개인화, 인지된 신뢰성, 인지된 침입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Social Media Native Advertising Acceptance : Focusing on Perceived Personalization, Perceived Credibility, and Perceived Intrusiveness

강한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media advertising acceptance such as attitudes toward native advertising, and intention to use native advertising for individuals in their 20s. In particular, perceived credibility was examined as a mediator between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native advertising acceptance. Perceived intrusiveness was examined as a moderator between perceived credibility and native advertising acceptance. Based on a survey, this study found that perceived credi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attitudes toward native advertising/intention to use native advertising. Moreover, perceived intrusiveness moderated a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redibility and intention to use native advertising. This study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의 태도 및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소셜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인지된 개인화가 인지된 신뢰성을 매개하여 네이티브 광고의 태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인지된 침입성이 인지된 신뢰성을 통한 매개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인지된 신뢰성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는데, 인지된 개인화 는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태도 및 이용의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인지된 신뢰성을 매개하 여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태도 및 이용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침입성은 인지된 신뢰성이 네이티브 광고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는데 이론적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서론
이론적 배경
1. 네이티브 광고
2. 인지된 개인화
3. 인지된 신뢰성
4. 인지된 침입성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3. 측정변수의 측정
연구결과
1. 인지된 신뢰성의 매개효과 검증
2. 인지된 침입성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한나 Hannah Kang. 한남대학교 정치·언론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