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손자녀 양육(隔代教养)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nd Grandparents’ Life Satisfaction in China - Parenting Pressure and Parenting Efficacy -

하위가, 박상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a’s economy, young parents under heavy work stress do not have sufficient time to look after their children who tend to be raised by elderly grandparents. In this respect, the grandparents who are supposed to be cared for by their children are bound to get additional parenting pressure, which has a great impa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on grandparents’ life satisfaction in China. The author used specialized statistics analysis systems, SPSS 21 and Amos 23.0 to execute the data analysis work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s, the author perform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ath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based on the difference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 that women pay more attention to fulfilling moral education responsibilities to grandchildren, grandparents with high education pay more attention to fulfilling responsibilities of intellectual and spiritual assistance to grandchildren. Grandparents who like playing together with their grandchildren and receive raising fee of their grandparents are having a bette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only the paths among the main factors of grandparent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the quality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factors of grandparents performing responsibilities (physical support duties), nurturing efficacy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show a positive impact.

한국어

젊은 세대의 맞벌이 부부는 경제적인 부담과 양육자에 대한 신뢰 등의 문제로 자 신들의 자녀를 육아시설이나 타인 보다는 부모세대 즉, 아이의 조부모에게 맡겨 양 육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 같은 현실 속에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隔代教养: Grandparenting)에 따른 스트레스는 노인 부양문제와 함께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부모의 개인적인 요인과 조부모의 역할수행 요인이 양육스트 레스와 양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이 생활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조부모 개인적 요인(지각된 건강상태, 손자녀 양육가치, 부모-자녀 관계의 질)은 ①지각된 건강상태와 ②부모-자녀 관계의 질에서 양육 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부모 역할 수행요인(경제적, 신체적, 도덕적 교육, 지적․정 서적 조력 역할)중에서는 신체적 조력 역할 만이 양육 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은 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양육스트레스의 경우는 생활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하위가 He, WeiJia. 충북대학교 국제경영학과 박사과정
  • 박상수 Park, Sang Soo. 충북대학교 국제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