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 콘텐츠 분야

영화의 공간적 서사 이론에 따른 한·중 법정영화 연구 - 한국영화 <변호인>과 중국영화 <침묵의 목격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Korean and Chinese Courtroom Films Based on Spatial Narrative Theory - Taking the Korean Film The Attorney and the Chinese Film Silent Witness as Examples -

문사강, 양종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urtroom films feature legal cases or court hearings. In a broad sense, it is a law film, and while in a narrow sense, it is a courtroom film with the court hearing of a particular case as the narrative subject. As a relatively mature genre, American courtroom films have relatively clear narrative modes and cultural functions. The subjects of this paper are Korean and Chinese courtroom films. Both Korea and China adopted the continental law system, but the legal systems of this two countries are formed in different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erefore their respectiv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religious and social status have great differences in legal concepts and legal systems. Korea and China have developed relatively mature law films through the localization of American courtroom films. Such difference is reflected in films at various levels, such as characters, narration, audiovisual language, and cultural themes. Typical scene space in courtroom films can be roughly presented in four categories, namely, life scene space, crime scene space, courtroom scene space and prison scene space. In this paper, spatial narrative theory will be used to study the Korean Film The Attorney and the Chinese Film Silent Witness and compare and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ilms from the typical narrative space form to the construction of narrative space audition, and then to the development trend and prospect of the space image. It's explored that the spatial narrative in films plays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tone, shaping the characters, advancing the plot, setting the suspense and expressing the metaphors.

한국어

법정영화는 법률 사건 또는 법정 심문 과정을 주요 플롯으로 하며, 이는 광의로 법률 장르 영화(law film)를 말하고, 협의로 어떤 사건의 심문 과정을 서사 주체로 하는 법정영화(courtroom film)를 가리킨다. 본 연구의 고찰 대상은 한국과 중국의 법정영화이며, 양국은 모두 대륙법계에 속하지만 한중 양국의 다른 법률 체계에 의해 각기 다른 역사와 문화 배경을 형성하여 양국의 정치, 경제, 문화, 종교와 사회 현황 등 에 대한 법률 이념과 제도에 큰 차이가 존재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은 미국 법정영화를 토대로 자국의 현실에 따른 적절한 수정을 통해 법률 장르 영화를 형성하였고, 그 차이는 주로 영화의 인물 설정, 서사, 시청 언어와 문화 주제 등에서 나타난다. 법정영화의 전형적인 장면 공간은 크게 생활 장면 공간, 사건 발생 장면 공간, 법정장면 공간과 감옥장면 공간 등 4가지로 나뉘고, 본 연구는 공간 서사학 이론을 토대로 한국영화 <변호인>과 중국영화 <침묵의 목격자>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전형적인 서사 공간 형태와 서사 공간 시청의 구축 그리고 공간 영상의 발전 추세와 전망 등에 대해 두 영화의 공통 점과 차이점을 자세히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영화의 공간 서사를 통한 영화 기조와 인물 이미지 구축, 플롯 촉진, 서스펜스 설정, 은유적 표현의 중요 역할을 고찰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공간적 서사의 관점에 따라 법정영화의 주제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고 문화를 해독하며, 또한 이에 존재하는 문제와 이면의 원인 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자는 법정영화의 새로운 관점에 따른 연구를 통해 법정영화의 사회적 기능과 시장 기능을 확대하고 법정영화의 발전에 실천적 의미를 지닌 탐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 배경
1.2. 연구의 목적과 의미
1.3. 연구의 목적과 의미
1.4. 연구 방법과 연구 문제
Ⅱ. 본론
2.1. <변호인>과 <침묵의 목격자>의 독특한 서사 공간 형태
2.2. <변호인>과 <침묵의 목격자>의 서사 공간의 시청 구축
2.3. 한중 법정영화 비교 연구의 현실적 의미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사강 Wen, Shi-Jiang. 상명대학교 대학원 디지털이미지학과 박사과정 (Sangmyung Univ.)
  • 양종훈 Jong-Hoon, Yang. 상명대학교 대학원 디지털이미지학과 교수 (Sangmyung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