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 콘텐츠 분야

한국에 수입된 중국 영화의 포스터 디자인 연구 - <소년시절의 너>와 <패왕별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Research on the Design of Posters of Chinese Films Introduced by Korea - Taking Better Days and Farewell My Concubine as Examples -

설가녕, 양종훈, 이상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an important means of graphic visual propaganda, a film poster integrates images, texts, colors and other code systems to express the artistic concept and inner meaning of the film, which is a meta visual image. In the 1990s, Kress and Leeuwen established a social semiotic framework for image analysis, which has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and analytical method for meta discourse analysis and has made the meta discourse analysis of film posters possible. In 2020, Chinese film Better Days was shown in Korea and Farewell My Concubine was replayed once again. At the same time, posters of these two films were redesigned. The meta discourse analysis method of Kress and Leeuwen was adopted in this paper to analyze the meanings of Korean posters of the two films in terms of reproduction, interaction and composition. The design features of the two Korean posters were summed up as follows through research: most Korean posters are actor-centered, hoping to attract viewers through stars; Korean posters know how to express inner emotions and are good at using manner to express emotions; Korean posters focus on presenting a certain “moment”, pictures from classic scenes are often used to design posters; Korean posters pursue a sense of beauty, pictures are simple and clean. LOGOs don't affect the whole posters, and are mostly handwritten. As for the Korean poster for Better Days, attention is paid to aesthetics in Korea. The poster is beautiful and romantic, but it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film itself. The design of the Korean poster for Farewell My Concubine is relatively successful, which is centered on Cheng Dieyi played by Leslie Cheung. The classic moment of singing The Drunken Concubine is chosen to highlight the inner emotions of the character. Therefore, the design of film posters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content and meaning of films. In addition to complying with local aesthetics, film posters should also be innovative and endowed with connotations of the times and socio-cultural significance.

한국어

영화 포스터는 영화의 중요한 그래픽 시각 홍보 수단으로 이미지, 문자, 색채 등 기호적 시스템을 포함 하고, 영화의 예술 이념과 내재적 의미 전달에 사용되는 메타 시각적 이미지이다. 1990년대 Kress와 Leeuwen은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사회 기호학적 프레임을 구축하여 메타 담론 분석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분석 방법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영화 포스터의 메타 담론 분석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한국은 2020년 중국 영화 <소년시절의 너>와 재개봉된 영화 <패왕별희>가 상영되었고, 상영과 함께 영화의 포스 터를 새롭게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는 Kress와 Leeuwen의 메타 담론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두 영화의 한 국판 포스터에 구현된 재현적 의미, 상호작용적 의미와 구성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를 통해 두 한국판 포스터의 디자인 특징을 요약하였다. 즉, 한국판 포스터는 대부분 배우를 중심으로 하는 스타 마케팅을 통해 관객의 관심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내재적 정서를 적절히 이용하고, 표정을 통한 감정 전 달이 매우 뛰어나다. 한국판 포스터는 어떤 순간에 대한 표현을 중시하기 때문에 항상 대표적인 장면을 활용하여 포스터를 디자인한다. 그 이외 한국판 포스터 디자인은 미감을 추구하고, 화면이 깨끗하고 로고 가 주체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핸드 폰트체를 흔히 사용한다. 그중 영화 <소년시절의 너>의 한국판 포 스터는 한국인의 심미 특징에 적절히 부합하여 화면이 아름답고 낭만적이지만 영화 자체의 내용과 의미 를 정확히 반영하지 않았으며, 또한 영화 <패왕별희>의 한국판 포스터 디자인은 상대적으로 성공적이며, 장국영이 분한 청뎨의(程蝶衣)를 중심으로 디자인하였고, <귀비취주(貴妃醉酒)>를 부르는 대표적인 순간 을 선택하여 인물의 내면 정서를 부각시켰다. 결국 영화 포스터 디자인은 영화의 내용과 의미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심미에 부합하는 창의를 통해 시대적 의미와 사회 문화의 의미를 담아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 배경
1.2. 연구 필요성
1.3. 선행 연구
1.4. 연구 대상
Ⅱ. 본론
2.1. 한국판 영화 포스터 <소년시절의 너>에 대한 메타 담론 분석
2.2. 한국판 영화 포스터 <패왕별희>의 메타 담론 분석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설가녕 Jia-Ning, Xue. 상명대학교 대학원 디지털이미지학과 박사과정 (Sangmyung Univ.)
  • 양종훈 Jong-Hoon, Yang. 상명대학교 대학원 디지털이미지학과 교수 (Sangmyung Univ.)
  • 이상은 Sang-Eun, Lee. 상명대학교 대학원 디지털이미지학과 조교수 (Sangmyung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