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Having interest in the process of didactical conversion that occurs in the course realization of curriculum in school setting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equential analysis on the 『Acting』 textbook focusing o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obtain implications for future revis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rrection of the textbook. Analysis results show that each small unit suggests total 36 learning objectives respectively, and 16 learning objectives of which are considered appropriate to achieve each achievement standard, whereas 20 turned out to be inappropriate to achieve achievement standards. Learning objectives that are inappropriate can be divided into ① learning objectives that expansion of learning activities is necessary due to insufficiency of such activities, ② the ones that addition is considered necessary due to ommission of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and ③ learning objectives that are needed to be detailed. As for learning activity, 84 out of the elements of learning activity analysis by 97 achievement standards have been realized in various elements of textbook, but contents or activities are missing from 3 elements, and 10 elements are realizing only by mentioning comprehensively in [Making a small know] and [Making a big know]. ① establishment of learning objectives considering the degree of specification through analysis of curriculum, ②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 and activity of textbooks by understanding even the tacit intent of curriculum, and construction of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extbook developer and curriculum developer, ③ delicate statement of textbook or curriculum for preventing content duplication of textbook, ④ discussion of appropriateness of learning topics or activities inserted arbitrarily by text developer and reflection of implications ⑤ development of audiovisual materials for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learning activity ⑥ systematic organization⋅ development of learning activity, ⑦ research of textbook application cases etc.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help to the development of qualitative textbooks and contribute to the composition of discourse about drama curriculum and textbooks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교육과정이 교육현장에서 실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 관심을 두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연기』 교과서를 연계 분석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 수정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각 소단원별 학습목표는 총 36개를 제시하고 있는데, 16개의 학습목표는 각 성취기준을 달성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개의 학습목표는 부적절 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절한 학습 목표의 양상은 ① 학습활동의 부족으로 확장이 필요한 학습목표, ② 학습내용 및 활동의 누락으로 추가가 필요한 학습목표, ③ 상세화가 필요한 학습목표로 나눌 수 있다. 학습활 동의 경우, 97개의 성취기준별 학습활동 분석 요소 중 84개는 다양한 교과서 구성요소에서 구현되고 있으나 3개는 내용이나 활동이 누락되었으며, 10개는 [작은 매듭짓기]와 [큰 매듭짓기]에서 포괄적으로 언급하는 정도로 구현하고 있다. 학습활동은 학습량을 고려하지 않은 학습활동, 내용적 중첩이나 효율적이지 못한 삽입 이미지, 혼란을 일으키는 교과서의 진술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성취기준에는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교과서 개발자가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 학습활동을 임의로 삽입한 것이 발견되어 향후 교과서 개발이나 교육과정 개정 시 그 적절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과정 개발 및 교과서 개정을 위하여 ①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상세화의 정도를 고려하여 학습 목표 설정, ② 교육과정의 암묵적 의도까지 파악하여 교과서의 학습내용 및 활동의 선정, 교과서 개발자와 교육과정 개발자간의 소통 시스템 구축, ③ 교과서 내 내용적 중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교과서나 교육과정 의 섬세한 진술, ④ 교과서 개발자가 임의로 삽입한 학습주제나 활동에 대한 적절성 논의 및 시사점 반영 ⑤ 학습활동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위한 시청각자료의 개발 ⑥ 학습 활동의 체계적인 구성⋅전개, ⑦ 교과서의 활용 사례 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교과서의 개발에 일조하며, 향후 연극 교육과정과 연극 교과서에 대한 담론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Ⅱ. 분석 방법 및 내용
2.1. 분석 대상 및 분석의 틀 설정
2.2. 분석 내용
Ⅲ. 분석 결과
3.1.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의 연계 분석 결과
3.2. 성취기준과 학습활동의 연계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