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

공공도서관 미대출 도서 추천시스템 구현 : 대구 D도서관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Implementation of the Unborrow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for Public Libraries : Based on Daegu D Library

진민하, 정승연, 조은지, 이명훈, 김건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oles and functions of domestic public libraries are diversifying, but various problems have emerged due to internally biased book lending. In addition,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ublic libraries have introduced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focusing on popular books, but the variety of books that users can access is limi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blic library unborrow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was implemented limiting its spatial scope to Duryu Library in Daegu City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public library users, by using the loan records data (213,093 cases), user information (35,561 people), etc. and utilizing methods like cluster analysis, topic modeling, content-based filtering recommendation algorithm, and conducted a survey on actual users' satisfaction to present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s of the unborrow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jority of users responded with high satisfaction, and was able to find the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in the class classified by specific gender, age, occupation, and usual read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some problems such as biased book lending and reduced operational efficiency of public libraries can be improv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as also presented.

한국어

국내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는 반면, 내부적으로는 편향된 도서 대출로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공공도서관에서 인기도서 위주의 도서 추천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나, 이 용자가 접할 수 있는 도서의 다양성은 제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만족을 제고하기 위해 공간적으로는 대구시 두류도서관으로 한정하여 대출이력 자료(213,093건), 회원정보(35,561명) 등을 활용하여 군집분 석과 토픽 모델링, 콘텐츠 기반 필터링 추천 알고리즘으로 공공도서관 미대출 도서 추천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제 이용자들의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미대출 도서 추천시스템의 가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 과 대다수의 이용자들이 높은 만족도로 응답하였으며, 특정 성·연령대, 직업, 평소 독서량 등으로 분류된 계층에서 만족 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편향된 도서 대출, 운영 효율성 저하 등의 문제를 일부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연구의 한계점 또한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 연구 고찰
2.1 도서 추천시스템 관련 선행 연구
2.2 이론적 고찰
3. 성·연령대별 인기 카테고리 분석
3.1 데이터 수집
3.2 데이터 전처리
3.3 도서 군집별 카테고리 분석
3.4 성·연령대별 인기 카테고리 분석
4. 미대출 도서 추천시스템 구현
4.1 추천시스템 구현
4.2 실험 및 평가
5. 결론
5.1 분석 결과 요약
5.2 정책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REFERENCES

저자정보

  • 진민하 Min-Ha Jin. 한동대학교 경영학/데이터사이언스학과 학부과정
  • 정승연 Seung-Yeon Jeong.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학사졸업
  • 조은지 Eun-Ji Cho. 영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사졸업
  • 이명훈 Myoung-Hun Lee. 경북대학교 수학과 학사졸업
  • 김건욱 Keun-Wook Kim.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빅데이터활용센터 센터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