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satisfaction of youths in job training is effective in career attitude maturity media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6 students who were sampled from four vocational schools in Seoul and SPSS 21.0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training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Seco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training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youth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vocational training in vocational schools,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also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higher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태도성숙에 효과가 있는 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4개의 직업전문학교에서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에 참여한 386명이며, 통계 처리에는 SPSS 21.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업훈련만족도는 진로태도성숙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를 살 펴본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태도성숙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분매개의 효과가 있 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들이 직업전문학교에서 직업훈련만족도가 높아지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 지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면 진로태도성숙도 역시 향상되어 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문제
2. 이론적 배경
2.1 청소년 직업훈련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2.2 청소년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2.3 청소년 직업훈련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
3.3 자료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일반적 특성
4.2 변인간의 상관관계
4.3 직업훈련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5. 논의 및 제언
5.1 논의
5.2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