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wage level of new job seekers in the platform labor market affects the period on getting the first job. Recently, the platform gets attention as one of alternatives to solve the increase of unemployment rate. It is important to create quality jobs that we build up a trust between employers and employees in the platform.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feedback from previous employers is important for solv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problem between those people. However, there is no feedback for new job seekers who have not get the first job. Therefore, we focus on the fact that wages are presented by job seekers rather than employers in the platform, and we will figure out that the low wages of new job seekers may affect the shortening of job-hunting period. For this reason, we use 3,704 job seekers of Freelancer.com. Survival analysis shows that low wages for new job seeke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hortening job-hunting perio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신규 구직자의 임금수준이 첫 업무획득기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최근 플랫폼 노동시장은 실업률 증가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플랫폼 노동시장 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고용주와 고용인 간의 신뢰형성이 중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전 고용주의 피드백이 고용주와 고용인간의 정보 비대칭 문제해결을 위해 중요하다고 하였다. 다만, 첫 번째 업무를 획득하지 못한 신규 구직자의 경우 이전 고용주에 의한 피드백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플랫폼에서는 임금이 고용주가 아 닌 구직자들에 의해 스스로 제시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신규 구직자의 낮은 임금이 구직기간 단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Freelancer.com에서 발췌한 3,704명의 구직자 정보를 사용한다. 생존 분석 결과에 따르면,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신규 구직자의 낮은 임금은 구직기간 단축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2.1 오프라인 노동시장의 직업탐색모형
2.2 온라인 노동시장의 직업탐색모형
2.3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신규 노동자의 정보비대칭문제와 진입가격전략
3. 실증분석
3.1 자료 및 변수
3.2 분석모형 및 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