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Introduction of Church accreditation system for the Korean church’s trust recovery. During COVID 19, Korean churches were found to be sources of infection in the local area and pointed out collectivism. As a result, Church’s confidence levels have followed suit. Fundamentally, those have declined for a long time. Trust recovery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compliance with commandments. This paper reviewed literature about the background and effect of accreditation system. That is been operating at University, Hospital, childcare facility for the trust recovery and quality management. First of all, the main causes of the decline in church confidence can be analyzed and reviewed in terms of seeking a new solution, given that it has not achieved any tangible results despite various efforts. This is because it is evaluated as an effective means by similar social institutions. The church can similarly apply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adopting the existing institutional certification system in that it deals with educational functions such as universities, childcare functions such as childcare facilities, and life such as medical institutions. It is particularly necessary to secure reliability, manage quality, and provide transparent information.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periodically check the ethical aspects and calling of pastors who are leaders of the church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securing trust in the effective aspect of the church, and 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reference to Invitation.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it would be effective in enhancing educational effects and satisfaction, reducing the risk of falling into Pseudo-bi churches, and preventing conflicts or disputes in Invitation and ministry processes. It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means to prevent trials and errors such as heavy preparation workload, incomplete evaluation indicators, negative preconceptions, and reliability of certification authorities in the future.
한국어
코로나19 발생 이후 교회는 집단감염원으로 지목되면서 사회적 신뢰가 실추되는 등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실질적으로는 오래 전부터 누적돼 온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교회가 신뢰를 회복하는 것은 하나님의 이름이 망령되이 일컫게 하지 말라는 십계명 의 현재적 실천이다.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 실현하기 위한 기초이고 토대이기도 하 다. 이를 위해서는 교회의 신뢰회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의 신뢰회복 방안으로서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대학, 의료기관, 보육시설 등 유사한 상황에서 인증제를 통하여 신뢰회복과 질적 관리를 위한 자기점검 체계를 도입하여 극복한 사례를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 였다. 더불어 사회로부터 제기되는 신뢰 회복을 위해 사회가 인정하는 방식을 교회에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통해 검토하였다. 우선, 필요성에 있어서는 교회신뢰 하락의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 여러 가지 노력 을 했음에도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기에 새로운 해법 모색 차원에서 검토할 수 있다. 유사한 사회 기관에서 효과적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교회는 대학과 같은 교육적 기능, 보육시설과 같은 보육 기능, 의료기관과 같이 생명을 다루고 있으면서도 역사적으로 훨씬 더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해왔다는 점을 고려할 수 있 다. 무엇보다 신뢰성 확보, 질적 관리, 투명한 정보제공 등에서도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미국장로교의 운영사례나 외국 연구결과도 유사함을 참조할 수 있다. 무엇보다 교회의 효과적 측면에서 교회의 리더이고 신뢰 확보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목회자의 윤리적 측면과 소명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청빙의 중요한 참 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 볼 수 있다. 이외에도 교육 효과 및 만족도 제고, 이단 사이비 교회로 빠지는 위험 감소, 청빙과 사역 과정에서의 갈등이나 분쟁 방지 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른 기관의 인증과정에서 제기된 과중한 준비 업무량, 평가지표의 불완전성, 부정적 선입견, 인증기관의 신뢰성 등의 시행착오를 추후연구에서 세부적으로 보완한다면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II. 인증제의 개요와 사례
1. 인증제의 개요
2. 인증제 운영 주요 사례
III. 인증제에 대한 비판과 보완과제
1. 준비과정에서의 과중한 업무 부담
2. 평가지표의 불완전성
3. 부정적 선입견
4. 개선효과 부족
5. 인증기관의 신뢰성
IV. 교회(목회자)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
1. 인증 대상 설정 검토
2.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3. 인증항목
4. 인증제 도입과 성공을 위한 조건 검토
V. 나가는 말
1. 연구의 요약
2. 연구의 한계와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