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happines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e utilized the 14th survey data which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investigated in 2019.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522 elderly people who were living alone and over the age of 65. We analyzed this survey data by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3.5(model 4),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respect and subjective happi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self-esteem and depression, depression and subjective happiness showed nega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respectively. Second, self-esteem cause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Third, depress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of old people living alone. According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can alleviate the level of depression and boast subjective happines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행복 간의 관계에서 우울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WEPS) 2019년 14차 조사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은 65세 이 상 독거노인 1,522명이었다. 조사자료는 SPSS 25.0, Macro Process 3.5 (Model 4)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 가, 자아존중감과 우울, 우울과 주관적 행복감은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자아 존중감은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우울은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아존중감 향상이 우울 을 완화시켜 독거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여줄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분석자료
3. 측정도구
4. 자료수집방법
5. 윤리적 고려
6. 자료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 매개효과 검증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