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Study on the Evaluation of Contribution of Secondary Generation of Fine Dust and Ammonia Using a Photochemical Model in the Metropolitan and Chungnam Area

원문정보

수도권과 충남지역의 광화학 수송모형을 이용한 미세먼지와 암모니아의 2차 생성 기여도 평가

Duhyun Oh, Jungwung Yoo, Sukjun Seo, Buju Gong, Yungjin Kim, Jungmin Park, Sungtae Kim, Uichan Jeo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econdary generation of fine dust in the atmosphere for the Metropolitan area and Chungnam area are classified into high-concentration cities and low-concentration cities through a photochemical model using data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ammonia in the atmosphere The contribution of the and ammonia concentration was evaluated. As for the contribution of fine dust to emissions,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low, the contribu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overseas areas was high, 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was high, the contribution to foreign regions was the highest. It was found that it was more affected by foreign countries, and by emission source, the contribution rate of the agricultural sector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found to be high. In the case of the Chungnam region, the contribution from overseas regions, Chungnam region, and the metropolitan region was higher in that order, and the high concentration period was more affected by foreign countries than the low concentration period, and the contribution from the metropolitan region was slightly higher. Among the emission sources in the Chungnam region, the contribution rate to agriculture was found to be high. As for the ammonia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s of the low and high concentrations of fine dust were similar, and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domestic region accounted for most of the influence of the foreign region. Was high, and it was judged that ammonia reduction in the agricultural field should be carried out first.

한국어

대기환경 중의 미세먼지 2차 생성 저감을 위한 정책시사점 도출을 위해 대기 중 미세먼지와 암모니아 농도 자료를 활 용하여 광화학모델을 통해 고농도시와 저농도시로 구분하여, 수도권과 충남 지역을 대상으로 대기 중 미세먼지와 암모니 아 농도의 기여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도권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배출량 기여도는 지역별로는 미세먼지 농도 가 낮았던 시기에는 수도권 지역과 국외 지역에서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고, 높았던 시기에는 국외 지역의 기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출원별로는 수도권 지역의 농업 부분 기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배출량 기여도는 지역별로는 국외 지역, 충남 지역, 수도권 지역 순으로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고, 고 농도 시 기가 저 농도 시기보다 국외 지역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출원별로는 충남 지역의 농업 부분 기여 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모니아 농도의 경향은 미세먼지 발생의 저농도 시기와 고농도 시기에 암모니아 농도가 비 슷하게 나타났고, 국외 지역 보다는 국내 지역의 영향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지역이 충남 지역 보다 자체 기여율이 높았으며 배출원별로는 농업 부분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나 농업 분야에서의 암모니아 저감을 우선 적으로 진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암모니아가 미세먼지의 성분의 전구물질이나 미세먼지와 암모니아의 배 출량과 배출농도 경향이 지역별, 시기별로 상이하므로 향후 미세먼지 저감방안 수립 시에 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 방법
1. 대기질 모델링 개요
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3. 암모니아 배출량의 미세먼지 기여도 평가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2. 모델링 신뢰도 분석
3. 권역별 미세먼지 2차 생성 기여도 평가
4. 권역별 암모니아 배출원의 농도 기여도 평가
IV.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정보

  • Duhyun Oh 오두현. Air Qualit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Jungwung Yoo 유정웅. Air Qualit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Sukjun Seo 서석준. Air Qualit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Buju Gong 공부주. Air Qualit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Yungjin Kim 김영진. Air Qualit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Jungmin Park 박정민. Air Qualit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Sungtae Kim 김성태. E2M3
  • Uichan Jeon 전의찬. Sejong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