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ssessment of Blocking Effects of Vertical Building Shadows on Sunshine Duration

원문정보

건물벽면 연직그림자 형성에 의한 일조장애 평가

Jeong-In Lee, Do-Yong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blocking effect of building shadows on sunshine environments was assessed for the new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using a numerical model of sunshine duration. Three-dimensional surface boundary of buildings in the target area was numerically constructed,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ata. The solar positions and the shadow areas were calculated for the target area on spring equinox, summer solstice, autumn equinox and winter solstice in 2019. The azimuth and altitude angles of the sun calculated in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the data provided by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and evaluated as the root mean square errors (RMSE) below 0.3° and the correlation 0.999. The gross shadow area in the target area was estimated as the increase rate of 48.6% ~ 87.6% by the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The blocking effect of vertical building shadows on sunshine duration was assessed for the apartment complex located adjacent to the construction site of new buildings, by considering the legal limit of sunshine duration. The layers less than the eighth floor were not satiated with 4-hours of the total sunshine duration during the time from 08 to 16 on winter solstice. The layers less than the sixth floor were not satiated with 2-hours of the continuous sunshine duration during the time from 09 to 15 on winter solstic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일조모델을 이용하여 고층신축건물 건설에 따른 그림자의 형성이 인근 아파트 단지의 일조환경에 미치 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자료를 기반으로 대상영역의 3차원 지표경계 자료를 구축하여 모델에 반영하였으며, 2019년 춘분, 하지, 추분, 동지에 대한 태양의 위치와 그림자 영역을 계산하고 일 조장애를 분석하였다. 태양의 방위각과 고도각은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자료와 비교·검증하였으며, 0.3° 미만의 평균제곱근오차와 0.999 수준의 매우 우수한 상관을 보였다. 대상영역에서 형성되는 그림자의 면적은 신축건물 건설에 의해 계절에 따라 48.6%~87.6%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신축건물의 영향으로 인접 아파트 단지의 남향 벽면에 형 성되는 연직그림자에 의한 층별 일조장애를 일조권의 법적수인한도를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동지일 08시에서 16시를 기 준으로 총 일조 4시간 이상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8층 이하의 구역에서 나타났고, 동지일 09시에서 15시를 기준으 로 연속일조 2시간 이상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6층 이하의 구역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방법
1. 일조모델
2. 대상지역 및 지표경계자료
3. 수치실험 및 분석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모델검증
2. 그림자 영역 평가
3. 일조장애 평가
IV.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Jeong-In Lee 이정인.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Do-Yong Kim 김도용.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