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星湖 李瀷과 白雲 沈大允의 國風說 비교 연구 - 朱熹가 규정한 淫詩를 대상으로 -

원문정보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星湖 李瀷 and 白雲 沈大允’s 國風說 - Focused on 淫詩Defined by 朱熹-

성호 이익과 백운 심대윤의 국풍설 비교 연구 - 주희가 규정한 음시를 대상으로 -

홍유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between 星湖李瀷who was the main leader of the school of 經世致用and 白雲沈大允who was the field scholar with the positive perspective toward “利” from 反朱子的perspective regarding as 詩經國風說. Comprehensively, the perspective of 星湖toward 詩經and 國風was doubtful about 朱熹’s 淫詩說and finally out of it, however, 白雲’s perspective denied completely 朱熹’s 淫詩說and found the meaning of the study. Therefore, 星湖’s method was relied on providing evidence, however, 白雲’s method was to define 詩經as scared document and to seek the original meaning of 詩經. Then in the middle of the process, 星湖went back to 小序’s theory in Han dynasty sometimes but 白雲did not accept of that theory. And this is the difference of two scholars. Regardless of this difference, it is very interesting that they agreed with the similar interpretation toward as “邶風‧靜女” “鄭風‧野有蔓草”. It is profound that 星湖’s 詩經說which was more objective than 白雲’s 詩經說, however, two scholars’ opinions was congruent. On the other hand, 星湖and 白雲both considered 詩經’s poem as “求賢治民’s 詩”, it was rare in 朝鮮詩經學. But broadened toward 淸Dynasty in China, it was common in those times. In this dimension, to look at 詩經詩篇as “求賢治民’s 詩” was maybe considered as reality-oriented attitude or political attitude, as the previous studies suggested. In order to evaluate like previous studies, through examinations are needed. Especially in the middle of the evaluation process in terms of the scholar dimension, the value of 星湖and 白雲’ 詩經說 and 國風觀will be completely revealed.

한국어

본고는 조선후기 經世致用학파의 거장인 星湖李瀷(1681-1763)과 재야의 학 자로 지내면서도 당시에는 보기 드물게 反朱子的시각에서 ‘利’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던 白雲沈大允(1806-1872)의 詩經國風說을 비교한 논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성호와 백운의 국풍설에는 유사한 측면도 있지만 그 세부 내용에 있 어서는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시경과 국풍을 바라보는 성 호의 입장은 ‘음시설에 대한 의심을 통한 주희의 설로부터의 이탈 과정’이라 한다 면, 백운의 입장은 ‘주희의 음시설을 완전히 부정한 이후의 의미를 밝히는 작업’이 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방법 역시 성호는 근거 제시를 통한 다양한 방증에 주력 한 측면이 있다면, 백운은 ‘聖經으로서의 시경’을 전제한 가운데 연역적인 방법으로 그 微意에 대한 규명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성호는 때로는 漢代 小序의 설로 회귀하기도 하지만, 백운은 그러한 경우가 드물다는 점도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邶風‧靜女〉나 〈鄭風〉의 〈野有蔓草〉등과 같은 다수의 시편에서 공통된 견해를 보이는 점이 흥미로운데, 이는 상대적으로 객관적 증명을 추구했던 성호의 시경설과 선험적 전제 아래 주견을 강 하게 드러낸 백운의 시경설이 만나는 양상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깊다. 한 편 詩經의 시편들을 ‘求賢治民의 詩’로 바라보는 성호 이익과 백운 심대윤의 시각 은 주희의 시경설이 구한말까지 지속되었던 조선 시경학 안에서는 독특한 입론이 지만, 시야를 좀 넓혀 중국 청대의 시경설까지 살펴보면 심심치 않게 눈에 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성호와 백운이 시경의 시편들을 ‘求賢 治民의 詩’로 바라보는 것은 기존 연구에서 제기한 것처럼 성호와 백운 특유의 현 실지향적 자세나 경세적 경학 연구의 측면에서 볼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평가를 내리기에 앞서 經學的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지를 먼저 검증할 필요가 있다. 그 리고 이러한 학술적 차원에서의 검증을 거치는 과정에서 성호와 백운의 시경설 및 국풍관이 가지는 본연의 가치가 보다 온전히 드러나리라 생각하는 바이다.

목차

[ 국문초록 ]
1. 서론
2. 詩經과 國風에 대한 관점 비교
3. 淫詩說 否定의 양상 비교
4. 星湖와 白雲 詩經說의 詩經學史的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유빈 Hong, you bin.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