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혁신적 조직문화, 조직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무형식학습효과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Informal Learning Effect and Job Satisfaction

한지영, 박지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s of informal learning effec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413 data from the HCCP(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7th (2017) collected by the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were used to conduc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firstly, all of the direct associations among the research variables, including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informal learning effe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informal learning effect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hown to be insignificant.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describ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혁신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혁신적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효과와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집한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7차(2017년)년도 근로자 데이터 중 해당설문에 모두 응답한 41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혁신적 조직문화는 직무만족, 무형 식학습효과,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형식학습효과 와 조직몰입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형식학습효과와 직무만족은 혁신적 조직문화와 조직몰입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혁신적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직무만족, 무형식학습효과와의관계
2. 무형식학습효과와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
3.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
4. 직무만족과 무형식학습효과의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데이터 예비분석
2. 타당도 분석결과
3. 연구모델의 평가
4. 모델수정 및 수정모델 평가
5. 가설검정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지영 Jiyoung Han. 국립암센터 교육훈련팀 파트장,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 전문대학원 박사수료
  • 박지원 Jiwon Park.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