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Self, Trust and Heterogeneity as Antecedents of Rumormongering Motivations on Social Media in Outbreak of Epidemics : Evidence from MERS and Ebola Cases

원문정보

팬더믹 상황에서 소셜미디어에서 이루어지는 루머전파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 자아, 신뢰, 비동질성을 중심으로

Hyoungkoo Khang, Eyun-Jung Ki, Irkwon Jeo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umormongering tends to be more conspicuous in an epidemic or a pandemic when people are prone to follow false or misleading information in an endeavor to assuage the anxiety or uncertainty. In light of rumor’s detrimental consequences for society, the current study examined potential predictors of rumoring motivations, including self-traits, institutional trust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und that self-control and social media news trus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l individual motivations of rumormongering. The finding indicates that a failure of self-control can lead to greater rumoring motivations. Implications of the linkage between variables are further discussed.

한국어

팬더믹 상황에서 사람들의 루머 전파 행위는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불안이나 불확실성을 진정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허위 혹은 잘못된 정보를 쉽게 믿기 때문이다. 이러한 루머가 사회에 끼치는 부정적인 결과를 인지하며 본 연구는 루머 전파 동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적 변인들을 측정해 보았다. 변인을 세 가지 큰 부류로 자아 특성 변인, 뉴스에 대한 신뢰, 그리고 행동적 특징으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 자아 통제와 소셜 미디어 뉴스에 대한 신뢰가 루 머 전파 동기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아 통제 수준이 낮은 사람일 수록,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는 사람일 수록 루머 전파 동기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1) Rumor Defined
2)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Rumormongering
3) Motivations of Rumormongering
4) Determinants of Rumoring Motivations
5) Research Questions
3. Research Method
1) Data Collection
2) Survey Procedure
3) Independent Measures
4) Dependent Measures
4. Results
1) Relationship Management Motivation (RMM)
2) Anxiety Management Motivation (AMM)
3) Information Sharing Motivation (ISM)
4) Self Enhancement Motivation (SEM)
5. Discussion and Conclusions
References
요약

저자정보

  • Hyoungkoo Khang 강형구. Ph.D. Professor, 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ciences, The University of Alabama, USA
  • Eyun-Jung Ki 기연정. Ph.D. Professor, 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ciences, The University of Alabama, USA
  • Irkwon Jeong 정일권. Ph.D. Professor, School of Media and Communication,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