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뿌드갈라 비판과 존재론적 은유 : 『입중론』 인무아 논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Criticism of Pudgala and Ontological Metaphor in The Madhyamakāvatāra

김현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viewed through the lens of ontological metaphor, the gap between language and daily experience accounts for category errors, and suggests that ‘the denying a self of persons’ (pudgalanairātmya) argument, in the Madhyamakāvatāra, is itself a category error. Candrakīrti, in the Madhyamakāvatāra, redefines the pudgala as a fictional self by referring to the ‘parable of carts’ in Questions of Milinda, in which the self is understood to be a collective concept. This collective concept is considered to be a ‘category error’ because it attempts to quantify and hold non-existent objects as real. Category errors are actually a type of cognitive error, and the reason we have trouble with this error is because we believe that verbal expressions are real. Candrakīrti analyzes the five aggregates of clinging of self, as language expressions, in his criticism of the pudgala,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ts and their accessories. This analysis reveals the non-substantial characteristics of self, but still does not systematically present the process of how cognitive errors come to be constructed. Therefore, the path of cognitive error is structured, according to Candrakīrti, through the process of denying that the self is a person. This structuralization draws on the theory of ‘metaphor’ which is based on a philosophical position called ‘experientialism’ and they explain it as a feature of our own understanding of self-concept as reality. In this case, metaphor is not used as a rhetorical device, but as a way of understanding oneself and the world in which we are forced to experience mental phenomena in relation to our understanding of general objects. This understanding reveals our general tendency to project our perception of physical objects onto abstract concepts and mental phenomena. This means that abstracted concepts and mental phenomena can only be conceived and experienced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physical objects.

한국어

본 연구는 『입중론(入中論)』 「현전지」에서 뿌드갈라(pudgala) 이론을 ‘범주 오류’(category-mistake)로 규정하여 비판한다는 점을 드러내고, 범주 오류가 일어나는 배경으로 언어와 경험 사이의 간극을 ‘존재론적 은유’(ontological metaphor)로 해명한다. 중관학파의 월칭(月稱)은 『미란다왕문경(彌蘭陀王問經)』에서부터 보여진 ‘수레의 비유’를 통해 뿌드갈라를 허구적 자아관념으로 규정한다. 수레의 비유를 통한 뿌드갈라 비판은 범주 오류에 근거한다. 수레는 부속품들의 결합으로 그 형태와 기능이 드러나지만, 수레로 환원되는 본질적인 형태나 기능은 실재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수레에 상응하는 대상을 실재한다고 믿으면 범주 오류에 빠진 것이다. 범주 오류는 인지적 착각의 한 유형으로, 우리에게 이러한 착각이 발생하는 까닭은 추상적인 개념들을 실재하는 사물들과 동일한 범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월칭은 언어표현으로서 뿌드갈라와 다섯 가지 정신-신체현상[五蘊]을 수레와 그 부속품들의 관계를 빌려와 범주 오류의 시각에서 비판한다. 이 비판은 자아관념의 비실체적 특징을 보여주지만, 인지적 착각이 발생하는 과정을 명시적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따라서 「현전지」 인무아(pudgala-nairātmya) 논증의 과정에서 확보할 수 있는 월칭의 주장들로부터 인지적 착각이 발생하는 언어습관의 유형을 탐색한다. 이러한 언어습관의 유형을 탐색하기 위해 ‘체험주의’(experientialism)의 ‘은유’(metaphor) 이론을 가져온다. 이를 통해 자아관념도 발생적 국면에서 물리적인 사물을 경험하는 관점에서 인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확인한다.

목차

국문 초록
Ⅰ. 들어가며
Ⅱ. 『입중론』에 등장하는 정량부의 자아 모델
Ⅲ. 수레의 비유에 나타난 범주 오류
Ⅳ. 자아성의 원천과 존재론적 은유
Ⅴ. 나가며
약호 및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구 Hyungu KIM. 전남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